내년에 고등학교에 입학하는 학생부터 한국사를 필수과목으로 배우게 된다. 또 앞으로 교사가 되려면 전공교과와 관계없이 일정 수준 이상의 한국사 소양을 갖춰야 하고 초∙중∙고의 역사 교과서는 쉽고 재미있는 내용으로 바뀐다. 교육과학기술부와 국사편찬위원회, 역사교육과정개발추진위원회는 22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이 같은 내용의 '역사교육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방안에 따르면 현재 고교에서 선택과목으로 돼 있는 한국사는 2012학년도 입학생부터 계열에 관계없이 모든 학생들이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필수과목으로 바뀐다. 이에 따라 전국 모든 고교생들은 졸업 때까지 총 85시간 안팎으로 한국사 과목을 배워야 한다. 교과부는 학생들의 역사 인식을 함양시키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한국사에 대한 소양을 갖춰야 한다고 보고 오는 2013년부터 신규 교원을 임용할 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급 이상자에게만 임용시험 응시자격을 주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또 사법시험과 법원 5급 시험, 국회 9급 시험 등 각종 공무원 선발 전형에 한국사 과목을 포함하도록 관계 기관과 협의해나가기로 했다. 5급 공무원 공채는 내년부터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성적을 반영한다.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도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도록 대폭 수정된다. 암기와 단순 지식전달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는 역사 수업을 토론∙탐구∙체험 중심으로 바꾸기 위해 다양한 수업 모델과 학습자료를 개발∙보급하고 역사체험 프로그램도 확대한다. 이를 위해 전문가와 현장 교원을 중심으로 '역사교육과정개발추진위원회'가 구성돼 새로운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이배용 역사교육과정개발추진위원장은 "현장 체험이나 스토리텔링 형식의 콘텐츠를 고민하고 있으며 팀워크를 필요로 하는 수업 방식도 개발 중"이라고 말했다. 이태진 국사편찬위원장은 "현재 나와 있는 교과서들은 역사적 사건이 일어나게 된 배경설명도 없이 사실 나열 위주로 돼 있어 학자들도 읽기 어려울 정도"라면서 "국가 정체성과 역사적 사실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역사교과서 집필 기준을 강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교육현장에서는 이번 역사교육 강화방안의 취지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공감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일선 학교들이 2009개정교육과정으로 늘어난 수업편성 자율권을 이용해 국∙영∙수 비중을 늘리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사를 필수과목으로 되돌리더라도 대학수학능력시험과의 연관성이 없을 경우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온다. 일부에서는 수능에서 한국사가 필수과목으로 지정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이주호 교과부 장관은 "정부의 입시정책 기조는 수능 과목 수를 축소하고 쉽게 출제하는 등 학생들의 시험부담을 줄이는 것"이라면서 "학생들이 한국사를 재미있게 배우고 우리 역사에 대해 자긍심을 느끼도록 만드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교과부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와 협력해 대학들이 학생을 뽑을 때 모집단위의 특성을 고려해 한국사 성적을 반영하도록 권장하기로 했다. 현재 한국사 이수를 필수조건으로 하고 있는 대학은 서울대와 부산대 등 두 곳뿐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