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최근 2~3년간 다양한 해외건설 지원방안을 마련했지만 건설업계에서는 여전히 부족한 점이 많다는 반응이다. 특히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등 해외건설 전문인력 및 금융 분야에 대한 범정부적 지원이 없이는 더 이상의 질적 성장도 어렵다는 지적까지 나온다.
서울경제신문이 해외건설 부문 매출비중이 높은 대형 건설사와 엔지니어링업체의 해외사업 담당 임원 및 실무진을 대상으로 해외사업에 대한 애로사항과 정부지원 방향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전문인력과 금융, 신시장 개척 지원 등 건설 소프트웨어 분야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 건설업체 관계자는 "중국은 아프리카 시장을 공략할 때 정부의 원조와 건설공사를 패키지로 묶어 제공한다"며 "우리나라도 이런 식의 지원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엔지니어링 인력과 함께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등 사업관리 인력의 전문화도 정부가 정책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엔지니어링업체의 한 관계자는 "해외 건설기업과 비교했을 때 국내 기업이 가장 뒤처지는 부분이 바로 우수 인력과 설계역량이 부족하다는 점"이라며 "현재의 인력 부족 해결은 물론 중장기적인 엔지니어링 산업 발전의 측면에서도 지속적으로 우수 인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정부 대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최근 들어 해외 대형 발주처들이 건설사의 자금조달 능력을 중요한 수주 기준으로 삼고 있는 만큼 업계 관계자들은 정책금융 지원에 대해서도 한목소리를 냈다. 국내 건설사들이 신규로 진출하는 국가들은 주로 후진국이 많아 공적수출신용기관(ECA)의 파이낸싱 여건이 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지원제도는 있지만 심사기준이 까다로워 혜택을 받기 어렵다는 것이 건설업계의 공통된 생각이다.
또 다른 엔지니어링업체 관계자는 "최근 해외 발주기관은 입찰 참여 시 시공사의 금융 조달 및 주선을 사전적격심사의 필수 조건으로 삼고 있다"며 "ECA 지원국가와 범위를 확대하고 동시에 신디케이트론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저금리 정책금융을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정부의 외교적 노력을 강화하고 경쟁력 있는 협력업체 양성에도 힘을 쏟아야 한다는 의견도 많았다. 실제로 국내 벤더(협력업체)의 경우 해외 발주처에 미등록된 경우가 많아 수주 후 정식 협력업체 리스트에 오르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려 전체 공정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도 자주 있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해외진출 협력업체에 대한 정부 지원과 함께 정부가 주도해 해외 발주처에 국내 우수 벤더를 알리고 사전 등록을 추진하는 한편 협력업체를 위한 로드쇼 등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건설업은 소프트웨어 산업"이라며 "우수한 인력과 자금 지원, 끊임없는 정책 개선 노력이 뒷받침되지 않고서는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