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오바마 대통령이 새해 업무에 복귀하기 전 하와이 겨울 휴가지에서 행정명령에 서둘러 서명했다는 점에서 단순한 대북제재 조치 이상의 정치·외교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날 행정명령을 통해 북한 정찰총국과 광업개발공사, 단군무역회사 등 단체 3곳과 개인 10명을 제재대상으로 지정했다.
오바마 대통령이 지난달 19일 보복공격을 공개로 천명한 지 꼭 14일 만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당시 기자회견에서 ‘소니 해킹이 북한의 소행’이라는 미 연방수사국(FBI)의 발표를 토대로 “북한의 이번 해킹 공격은 미국에 엄청난 손상을 입혔다”면서 “북한에 ‘비례적으로’(proportionally)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오바마 대통령이 이처럼 대북 초강수를 둔 것은 북한의 이번 소니 해킹을 미국에 대한 직접 공격으로 간주할 만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방증이다.
미 국무부는 소니 해킹 사건 직후 “우리는 미국 시민과 기업에 대한 어떤 위협도 심각하게 여긴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한 외교 소식통은 “소니 해킹 사건이 미 정부의 심기를 상당히 자극한 것 같다”고 전했다.
오바마 대통령이 새해 벽두부터 대북제재 행정명령을 발동하고 나선 데 대해 워싱턴 외교가에선 “오바마 대통령이 직접 공개 대응을 천명한 만큼 그 차원에서 제재에 나선 것이다. 특별히 타이밍을 잡은 것 같지는 않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선 오바마 대통령이 새해 첫 업무 개시일에 대북제재 행정명령을 발동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그것도 북한의 대남·해외 공작업무 총괄기구인 정찰총국과 노동당 간부들을 제재대상으로 삼은 것은 북한에 보내는 상징적 의미가 적지 않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번 대북제재 조치는 핵과 미사일 위협, 사이버 공격 등 어떤 형태의 도발도 절대 용납하지 않겠다는 미 정부의 강력한 메시지를 북한 김정은 정권에 보낸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특히 새해 업무 첫날 이 같은 경고를 보낸 데는 북한의 ‘상황 오판’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겠다는 의도가 내포돼 있다는 것이다.
오바마 대통령의 대북 강경 조치는 소니 해킹에 대한 보복 차원을 넘어 최근 쿠바와 53년 만에 국교 정상화를 선언한 데 이어 이란과도 관계 개선을 모색하는 상황에서 마지막 남은 적성국인 북한을 확실하게 길들일 필요가 있다는 현실적 인식과도 무관치 않아 보인다.
이런 가운데 오바마 대통령의 대북제재 행정명령은 소니 해킹 배후를 둘러싼 논란도 일정부분 잠재우는 효과도 있다.
최근 들어 북한이 아니라 소니 내부의 불만 세력이 소니를 해킹한 것이라는 일부 전문가들의 주장이 제기되면서 소니 해킹 배후를 둘러싼 논란이 한층 가열되는 상황이다.
/디지털미디어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