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벼랑 끝에 서 있다는 절박한 마음으로 국민 눈높이에서 철저히 쇄신을 실천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비대위원장은 또 당이 ‘절체절명의 위기’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쇄신이 진행되는 이 시점에서 쇄신 자체를 가로막는 언행이나 비대위를 흔드는 언행은 자제돼야 한다”며 “비대위가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도록 돕고 힘을 모아달라”고 당부했다.
특히 그는 비대위원들에 대해서는 “아무 것도 바라지 않고 오직 당을 살리고 정치를 국민이 원하는 방향으로 바꾸겠다는 생각으로 큰 결정을 내린 분들로, 이들이 정치하러 온 것처럼 바라보는 시각은 옳지 않다”며 “이런 시각차가 좁혀지지 않는다면 계속 불필요한 분열과 갈등, 혼란만 일으킬 뿐”이라고 경계했다.
다만 정강에서 ‘보수’ 표현의 삭제를 둘러싼 논란과 관련해서는 “당이 추구해야 할 핵심 가치를 시대변화에 맞게 다듬는 것은 필요하지만, 정책쇄신 작업이 진행 중인 과정에서 보수 관련 논쟁이 계속 벌어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말했다.
그는 “오늘 이 부분에 대해 결론을 지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이러한 언급은 박 비대위원장이 ‘보수’ 표현 삭제에 부정적 입장을 밝힌 것으로 풀이돼 다른 비대위 위원들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 어떤 결론이 도출될지 주목된다.
비대위 핵심인 김종인 위원은 언론인터뷰 등에서 “스스로 ‘나는 보수다’라고 찍는 정당은 오늘날 변화하는 세계에서 존재가 불가능하다”며 ‘보수’ 표현 삭제를 주장해왔고, 비대위 정강정책 개정소위의 위원 다수도 이 표현을 삭제해야 한다는 입장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온라인뉴스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