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선 새정치연합 국민공감혁신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이날 합의에 앞서 쉽게 ‘OK’ 사인을 내줄 수 없다는 듯 회동 시작부터 이완구 새누리당 원내대표에게 날을 세웠다. 그는 “세월호 피해자 지원 관련 법안에 대해 김재원 새누리당 원내수석 부대표가 7·30 재보선 전 왜곡된 해석이 담긴 ‘대외비’ 문건을 만들고 이를 새누리당이 카카오톡을 이용해 집단으로 퍼 날랐다”며 새누리당의 사과를 요청했다. 아울러 “김무성 새누리당 당 대표가 세월호 진상규명을 위해 특검추천권을 야당에 주기로 했었다”며 이를 이행하지 않고 있는 것에 대해 해명을 요구했다. 이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이것은 의원 개개인의 소신 발언”이라고 선을 긋자 박 국민공감혁신위원장은 “김재원 의원은 당의 원내수석이고 김무성 의원도 당 대표인데 이것이 어떻게 의원 개인의 발언이냐”며 물러서지 않았다. 또 이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큰 합의를 이루기 위해 만난 자리에서 이러한 문제로 국사논의가 영향을 받으면 원내대표가 책임을 져야 한다”고 으름장을 놓자 그는 “이것은 거대여당이 힘없는 야당을 협박하는 것”이라며 맞받아쳤다. 상황이 이렇게 전개되자 이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결국 언성을 높이며 통상 비공개로 진행되는 주례회동을 “이럴 거면 아예 전체공개로 해버리자. 새누리당도 숨기고 싶은 것 없다. 국민이 모든 것을 판단하게 하자”고 말했다. 결국 두 원내대표는 주위의 만류에 따라 비공개 회의로 전환했고 2시간 30분여 간의 논의 끝에 세월호 특별법과 국정조사특별위원회의 청문회 일정 등을 합의했다.
일각에선 “박영선 대표의 불같은 성격상 합의가 결렬될 수 있다”는 예측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재보선에서 참패하고 비대위체제로 돌입한 새정치연합에게 합의를 미룰만한 여력은 남아있지 않았다. 결국 합의에 앞서 박 국민공감혁신위원장이 이 새누리당 원내대표에게 사과를 거듭 요구하고 대립각을 세운 것은 선거참패의 아픔을 딛고 눈물로서 비대위원장 직을 수락한 그의 마지막 자존심으로 해석될 수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