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현재까지 지명한 7명의 국무총리 후보자 및 장관 내정자가 대부분 부동산 투기나 병역기피, 탈세 등의 의혹을 받고 있다. 각 후보자는 사실과 다르다며 해명을 했지만 일부 후보자에 대해서는 여권 내부에서도 낙마를 우려하고 있다.
과거 인선에 관여했던 새누리당의 한 의원은 15일 "두 명 정도는 검증공방 과정에서 낙마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정홍원 국무총리 후보자는 주가 시세차익 특혜, 부동산 투기, 증여세 탈세 의혹 등이 불거졌다. 한국거래소와 공직자윤리위 자료를 보면 정 후보자의 가족 중 부인과 대학생 아들은 1999년께 현대전자ㆍLG전자ㆍ현재자동차 주식을 샀고 아들은 2001년 이를 팔았다. 당시 현대그룹이 계열사 자금을 동원해 현대전자 주가를 띄우는 수법으로 거액의 차익을 거둔 주가조작 사건이 발생했다. 이 때문에 두 사람의 주식매입 배경과 시세차익 규모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에 대해 정 후보자 측은 "부인은 현대전자 주식 소유로 손해를 봤고 아들도 큰 이익을 봤으리라고 짐작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정 후보자가 위장전입을 인정한 점도 야당의 공격을 받고 있다. 그는 1988년 부산지검에 발령 받으면서 부인과 아들은 부산으로 주소를 이전했지만 본인은 서울 구로동 누나 집으로 주소를 옮겼다. 정 후보자 측은 무주택자였던 정 후보자가 국민주택청약 1순위 지위를 잃지 않기 위해 누나 집으로 이전했다고 시인했다.
그는 또 부산에서 대검으로 다시 발령이 나기 직전인 1989년 8월 주소를 서울 강남구 대치동으로 옮겼다. 아들의 중학교 입학을 8개월 앞둔 시점이어서 8학군 배정을 위해 거주기간을 늘리려는 목적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정 후보자 측은 인사발령 내용을 미리 알고 주소를 옮긴 것일 뿐이라고 해명했다.
김병관 국방부 장관 내정자도 다른 후보에 비해 논란거리가 많다. 부인이 2002년 매입한 노량진 소재 아파트를 2011년 두 아들에게 증여하면서 증여세를 줄이기 위해 증여 20일 전 은행에서 1억2,000만원을 빌려 증여액을 낮추는 방법으로 2,400만원의 증여세를 내지 않았다.
김 내정자는 1986년 부인 및 당시 8살이던 장남 명의로 경북 예천군의 임야 21만여㎡를 매입했는데 장관 후보로 내정된 뒤 증여세 미납 논란이 불거지자 14일에야 증여세를 납부했다. 13년 전 부인 명의의 아파트를 가진 상태에서 서울 서초구 반포동의 재건축아파트를 실제 거주할 의사 없이 매입한 정황도 논란이다. 김 내정자는 전세를 끼고 이 아파트를 매입해 현재 시세 기준으로 10억원 이상의 차익을 올렸다.
김 내정자 측은 이에 대해 "서초동 아파트는 10년 넘게 보유하고 있는 만큼 단기차익을 노린 악성 투기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그는 육군 대장으로 예편한 뒤인 2010년 7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 무기를 중개하는 Y업체에 비상근 자문이사로 근무하면서 자문료 형식으로 고정급여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업체는 육군 차기 전차인 K2 전차에 들어가는 독일제 파워팩(엔진+변속기) 수입을 중개해 김 내정자가 K2 전차에 국외 파워팩을 적용하는 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감사원은 지난해 K2 전차의 파워팩 선정 과정에서 해외 업체에 특혜를 제공한 의혹이 있다고 발표한 바 있다.
황교안 법무부 장관 내정자는 부동산 투기와 함께 역사관 논쟁에 휘말릴 소지가 있다. 황 내정자의 부인은 은행 대출을 받아 1999년 투기열풍이 거셌던 경기 용인시 수지 지역의 대형(164.24㎡ㆍ약 50평) 아파트를 분양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황 내정자 부부는 현재 서울 서초구 잠원동에 살고 있다. 황 내정자 측은 "황 내정자가 실제 거주할 아파트를 구입했으나 개인적인 사정이 있어 이사를 못 간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는 또 1980년 피부병의 일종인 만성 담마진을 이유로 병역을 면제 받았다. 이에 대해 황 내정자 측은 만성 담마진은 징병검사 규칙상 최저등급인 3등급을 받아 징집 면제 대상에 해당하며 현재 기준으로도 4~5급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