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2일부터 추석 선물세트 본판매에 들어간 백화점 3사의 선물세트 매출이 지난해보다 대폭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롯데백화점의 선물세트 판매 실적은 지난달 31일 기준 전년대비 32% 신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문별로 굴비 61.7%, 건강식품 41.0%, 인스턴트·생필품 39.7%, 주류 31.1%, 축산 24.2%의 신장률을 보였다.
현대백화점은 지난달 31일 기준 24.7%의 매출 신장률을 기록했다.
정육 선물세트 판매가 70.8% 늘었으며, 생선 51.4%, 건강식품 35.9%, 건식품 17.3% 등의 신장률을 보였다.
신세계백화점은 지난해보다 17.1% 늘어난 실적을 기록했다.
수산 34.6%, 축산 23.3%, 청과 12.4%의 신장률을 보였으며 10만원대 알뜰 한우 세트 상품이 특히 강세를 보였다.
반면, 대형마트의 판매실적은 지난해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25일부터 추석 선물세트 본판매를 시작한 이마트의 매출은 1일 기준 0.3% 신장하는 데 그쳤다.
예약판매 물량을 포함해도 매출 신장률은 2.1%에 불과했다.
품목별 신장률을 보면 양말 7.5%, 채소 4.9%, 생활용품 4.0%, 과일 2.6%, 축산 2.4% 등의 매출은 증가했으나 수산(-38.3%), 오가닉(-33.3%), 건강식품(-26.7%), 커피음료(-22.,5%) 등은 오히려 역신장했다.
홈플러스는 본 판매 기준 1.8%의 신장률을 보였으며 예약판매 물량을 더하면 5.2%의 매출 신장률을 기록했다.
품목별로 간편조리 제품 73.0%, 건식류 63.5%, 패션잡화 25.2%, 가공식품 17.9%의 신장률을 보였으며, 농산(-19.2%), 과일(-6.0%), 위생·건강·미용제품(-1.2%) 등은 지난해보다 매출이 줄었다.
롯데마트의 추석 선물세트 매출(8월18∼9월1일)은 전년보다 4.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미·인스턴트 제품 매출이 18.0% 늘어난 반면, 쇠고기(-20.7%)와 채소(-10.7%), 수산물(-8.8%) 등은 지난해보다 매출이 감소했다.
/디지털미디어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