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6년 12월18일, 샌프란시스코. 항구에 군중이 몰려들었다. ‘신비의 동물 자이언트 판다’를 보기 위해서다. 구경꾼들은 곧 넋을 잃었다. 감금 당하지도 묶이지도 않은 아기 판다가 사람에게 매달려 들어왔기 때문이다. 판다를 안았던 사람은 루스 하크니스(Ruth Harknessㆍ당시 36세). 사람들은 여류 디자이너였던 그가 판다와 인연을 맺게 된 동기에 더욱 열광했다. 판다를 추적하던 남편 윌리엄 하크니스가 중국 여행 도중 사망하자 단신으로 상하이에 건너가 지아비가 못 이룬 꿈을 실현했다는 사실이 영웅담으로 퍼졌다. 쓰촨성의 밀림을 두 달간 뒤진 끝에 눈도 못 뜬 아기 판다를 생포한 루스는 유명인사로 떠올랐다. 전설상의 동물로만 알려졌던 판다가 살아 있는 상태로 중국을 벗어난 것은 사상 최초. 당태종에게 658년 판다 한 쌍을 선물 받았다는 일본 고서기의 기록이 사실이라고 쳐도 서구세계에서 처음인 루스의 판다는 이듬해 시카고 동물원에서 공개되며 수십만명의 관람객을 끌었다. 판다 열풍은 곧 재앙으로 바뀌었다. 사냥꾼과 밀렵꾼에게 1946년까지 200마리가 희생되고 16마리가 외국 동물원에 팔렸다. 관리가 시작된 것은 중국 공산정권 수립(1948년)부터다. 판다는 오늘날 귀하신 몸이다. 중국은 한 마리당 연간 100만달러씩 임대료를 받고 10년간 장기계약으로 판다를 빌려주고 있다. 새끼를 낳아도 소유권은 중국에 있으며 연간 60만달러씩 추가로 내줘야 한다. 너무 비싸다는 불평도 있지만 임대 받으려는 줄은 좀처럼 줄어들지 않는다. 판다는 발전하는 중국의 상징이다. 중국 공산정권은 국제무대에 등장할 때 ‘판다 외교’를 앞세웠다. 판다는 더 많이 눈에 띄고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할 것 같다. 2008년 베이징올림픽의 마스코트가 판다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