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와 아마겟돈(세계 종말의 전쟁터)을 합성해 아베노믹스가 일본 경제의 대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경고다. 실제 아베 정권의 무제한적인 양적완화 이후 호조를 띠던 금융시장이 최근 불안한 조짐을 보이고 있고 실물경기 지표도 저조한 실정이다.
20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올 1ㆍ4분기 일본 국채시장에서 만기 1년 이상은 1.8%의 손실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03년 3ㆍ4분기 이후 가장 큰 손실이다. 일본 국채는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영국에 이어 가장 큰 손실을 냈다. 일본은행의 대대적인 채권매입에도 일본 국채가 10년물 기준으로 0.315% 수준에서 2ㆍ4분기 들어 1% 가까이 치솟는 등 불안한 흐름을 보인 탓이다.
아커스리서치의 피터 태스커 애널리스트는 이날 파이낸셜타임스(FT)에 "(과거의) 주가급등과 엔가치 급락을 일각에서는 재앙의 전조라고 우려한다"며 아베노믹스는 아베겟돈이라고 경고했다.
실물경제 회복에 대한 기대감도 급속도로 사라지고 있다. 이날 블룸버그는 올 1ㆍ4분기 일본 비금융기업들이 보유한 현금과 예금이 2조4,000억달러에 달했다고 보도했다. 전년동기보다 5.8% 증가한 것으로 사상 최고치다. 또 이는 이탈리아 국내총생산(GDP) 규모(2조달러)와 미국 기업들이 보유한 현금 규모(1조8,000억달러)를 웃도는 수준이다.
아베노믹스 성공의 열쇠를 쥔 제조업들이 설비투자는 하지 않고 불투명한 경영환경에 대비해 현금만 움켜쥐고 있다는 뜻이다.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도 "아베 정부의 성장전략에는 기업투자를 늘릴 조치가 들어 있지 않다"며 아베노믹스가 일본 경제의 부활을 보장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무디스는 대대적인 기업투자가 뒷받침되지 않을 경우 일본 정부가 향후 10년간 실질 성장률과 명목 성장률을 매년 각각 2%, 3%씩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것으로 분석했다. 1ㆍ4분기에 달성한 연율 4.1%의 성장률을 2ㆍ3분기에도 계속 유지하기 어렵고 불완전한 성장전략이 오히려 재정부담을 늘릴 것이라고 지적했다. 무디스는 일본 정부의 장기부채가 GDP의 200%, 총부채는 GDP의 245%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