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정상세포를 손상시키지 않는 뇌종양 유전자치료제를 개발, 임상시험을 앞두고 있다. 설대우(사진) 경원대 생명과학과 교수는 25일 아데노바이러스 기반의 TRAIL 항암치료제(Ad-stTRAIL)를 개발해 사람 뇌종양 모델 쥐에 투여한 결과 뚜렷한 독성 부작용 없이 강력한 치료 효과를 보였다고 밝혔다. 이 유전자치료제는 세포의 괴사를 일으키는 종양괴사인자(TNF) 단백질군에 속하면서도 정상세포를 손상시키지 않는 것으로 알려진 TRAIL 유전자를 아데노바이러스와 결합시켜 암세포 사멸작용을 일으킨다. 일반 쥐와 사람 뇌종양 모델 쥐에 투여한 결과 특이 질병증세나 체중감소 등 뚜렷한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고 기존 뇌종양치료제(BCNU)보다 치료 효과가 우수했다. BCNU와 함께 투여해도 독성 부작용 없이 치료 효과가 더 커졌다. 악성 뇌종양은 뇌에 생기는 가장 흔한 종양의 하나지만 세계적으로 뛰어난 치료 효과를 보이는 치료제가 없어 평균 생존율이 1년 정도에 불과하다. 설 교수는 "전임상시험을 마치고 동아제약과 함께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임상시험 허가신청을 했다"며 "올 하반기 뇌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1상시험에 들어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경원대 가천나노바이오연구원와 동아제약, 미국 피츠버그대 연구진 등이 참여한 이 연구 결과는 온라인 국제과학저널인 '플로스 원(PLoS One)' 21일자에 게재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