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간호인력의 서울·대형병원 쏠림과 중소·지방병원의 인력난이 심화하지 않도록 안전장치를 두기로 했다. 추가 간호인력 수요가 상대적으로 적은 간호 1~3등급 의료기관에 한해 감염내과·내과 쪽 1~2개 병동에 제한적으로 허용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지난 6월 규제가 풀린 국공립병원과 전문병원을 포함해 110여개 의료기관이 당초보다 2년 빨리 포괄 간호 서비스를 할 수 있게 된다. 전국 43개 상급 종합병원 가운데 시범사업 때부터 참여해온 인하대병원을 뺀 42곳, 서울 지역의 간호 1~3등급 종합병원(간호사 1명당 병상 3.5개 미만)과 전문병원 등 70여곳이 대상이다.
포괄 간호 서비스는 간호사 1명이 담당하는 환자가 7~14명으로 일반병동의 절반 수준이어서 간호인력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크다. 또 포괄 간호를 받는 환자는 건강보험에서 비용의 80~95%를 부담해 월 200만원 안팎인 사적(私的) 간병비 부담을 덜 수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