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해양경찰서는 28일 우이산호 기름유출 사고 관련 수사 사항을 발표하면서 이번 사고로 원유 339㎘와 나프타 284㎘, 유성 혼합물 32~131㎘ 등 최소 655㎘에서 최대 754㎘의 기름이 바다로 흘러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3일 해경이 추가 조사를 벌여 추정한 유출량인 164㎘의 4.5배에 이른다.
해경은 중간발표와 유출량이 큰 차이가 나는 이유에 대해 "송유관 밸브 차단 시간에 대해 GS칼텍스 관계자들이 허위진술과 서류조작을 해 유출량 산출에 어려움이 있었다"며 "정확한 유출량 산출을 위해 GS칼텍스를 압수수색하고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합동으로 CCTV 동영상과 현장 확인 등 과학적인 방법으로 유출량을 다시 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사고의 원인으로는 도선사 2명이 배를 원유부두로 접안하는 과정에서 평소보다 빠른 7노트의 속력으로 진입했고 통상적인 감속 시점을 2마일 지나쳐 감속을 시도하면서 송유관을 들이받았기 때문이라고 해경은 발표했다. 또 관리감독의 의무가 있는 GS칼텍스 해무사가 현장에 없었고 부두 관계자들의 유출유 확산 방지를 위한 초동조치가 미흡해 유출량이 많아졌다고 밝혔다.
해경은 수사 내용을 토대로 관련자 9명에 대해 해양환경관리법위반과 업무상과실선박파괴, 업무상과실치상, 증거인멸 등 혐의로 형사입건했다. 아울러 선사인 오션탱커와 GS칼텍스 법인에 대해서도 관계 법령에 따라 처벌할 예정이다.
1월31일 발생한 여수 기름유출 사고는 원유 27만8,584톤을 싣고 영국에서 출항한 싱가포르 국적 원유운반선 우이산호가 전남 여수시 낙포동 GS칼텍스 원유2부두에 접안을 위해 진입하던 중 부두 시설물과 송유관 잔교 등을 들이받아 송유관 3개가 파손, 기름이 흘러나온 사건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