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 재건축 사업을 추진했던 경험이 있어 주민들의 관심이 높습니다. 대책이 발표되자마자 전화 문의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당장 아파트 값이 오르지는 않겠지만 재건축이 본격적으로 논의되면 가치가 뛰겠죠."(신정동 S공인 관계자)
지난 1일 정부가 아파트 재건축 연한을 기존 40년에서 30년으로 단축하고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도 완화하기로 하면서 수혜지역으로 꼽히는 서울 양천구 목동과 노원구 상계동 일대에 재건축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서울시 기준으로 재건축 허용시기가 2~8년씩 앞당겨져 앞으로 3~6년 안에 재건축을 추진할 수 있게 돼 사업 논의가 급물살을 탈 것이라는 반응이다. 특히 목동과 상계동 일대는 서울 강북권 중에서도 교육여건이 우수해 매매 및 전세수요가 높은 지역인 만큼 재건축에 대한 기대감이 강남 못지않다는 설명이다.
◇용적률 낮고 교육여건 우수해 재건축 기대감 높아=2일 목동 일대 중개업소에 따르면 정부의 9·1대책이 나온 뒤 투자자들의 문의가 꾸준히 늘고 있다. 과거 재건축 사업을 추진하다가 중단된 전례가 있는 만큼 사업이 본격적으로 재개될 수 있는지를 묻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전해졌다. 목동 B공인 대표는 "2010년 양천구가 목동 신시가지 아파트 2만6,000여가구의 재건축 계획을 세웠지만 서울시의 반대로 무산된 바 있다"며 "이번에는 법적으로 재건축 연한이 줄어들기 때문에 확실히 사업을 다시 시작할 수 있어 전망이 밝다"고 말했다.
현재 목동신시가지 8단지 55㎡(이하 전용면적)의 시세는 4억1,000만원선으로 연초 대비 1,000만원가량 오른 상태다. 72㎡ 역시 전세수요가 높아 일부 매매전환이 이뤄지면서 올 들어 1,000만원 오른 5억9,000만원에 시세를 형성하고 있다. 대책 발표 이후 호가가 뛰지는 않았지만 집주인들의 문의가 이어지고 있어 조만간 호가를 높이고 매물을 거둬들이는 사례가 나올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이다.
목동 신시가지 아파트는 용적률이 110~160%로 낮은 편이어서 수익성도 높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지방에서 '맹모(孟母)'들의 이주가 잇따를 정도로 유명한 학군을 갖춰 재건축 시 외부 투자자들의 문의가 뜨거울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은 상태다. 이미 교육여건과 교통환경이 우수한 곳에 새 아파트가 대거 들어설 경우 명품 주거단지로 탈바꿈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지은 지 30년이 다 된 주공 아파트가 3만여가구에 달하는 상계동 일대 역시 재건축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12~15층 중층 노후단지가 몰려 있어 재건축 시 25층 정도만 올려도 사업성이 충분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상계동 J공인 관계자는 "이미 상계동에서 전세가율이 70%에 육박하는 곳이 많은데 이참에 전세에서 매매로 갈아타 집을 보유하고 나중에 재건축 투자를 노려보려는 문의도 있다"고 전했다.
◇추석 이후 매매 탄력 붙을까…신중론도 제기=이번 재건축 규제 완화의 수혜지역으로 꼽히는 목동·상계동·중계동 등에서는 추석 이후의 시장 분위기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실수요자 및 투자자들이 유입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된 만큼 추석 이후 본격적인 매수세가 붙을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상태다.
다만 일부에서는 재건축에 대한 신중론도 제기되고 있다. 규제완화에도 불구하고 실제 재건축 사업의 사업성을 예측하기가 쉽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노른자위로 꼽히는 서울 강남권의 개포주공, 가락시영 등 저층 재건축 단지마저도 사업 추진이 쉽지 않았던 만큼 강북권에서 재건축 사업이 속도를 내기를 기대하기가 쉽지 않다는 의견도 나온다. 상계동 P공인 대표는 "재건축 시기가 앞당겨진다고 해서 당장 논의에 불이 붙을 것 같지는 않다"며 "추석 이후 재건축을 염두에 둔 거래보다는 치솟는 전셋값에 따라 매수 상황이 결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