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교육청 산하 교육연구정보원은 20일 오후 연세대학교 백양관에서 서울형 혁신학교 운영성과 설명회를 열고 2011년 지정된 혁신고의 서울 4년제 대학 진학률이 학생의 성적 등 비슷한 조건의 일반고보다 높았다고 밝혔다.
최근 강남 중산고에서 학력 저하 우려를 이유로 혁신학교 지정을 포기하는 등 혁신학교 학력 저하 논란이 불거지자 시 교육청에서 논란을 차단하고자 하는 모양새다.
시 교육청은 학력 성취도 분석 방법으로 2011년 혁신학교로 지정된 3개 고교 중 2개 고교를 신입생 성적이 비슷했던 강북의 A고와 비교했다. 시 교육청에서 제시한 자료에 따르면 입학 당시 신입생 중 내신 8∼9등급에 해당하는 학생들은 2011년 A고가 7.5%, B혁신고(14.9%), C혁신고(17.5%)로 나타났다. 입학 1년 후 실시된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기초학력에 미달하는 학생이 일반고의 경우 12%로 늘어난 반면 혁신고 2곳에서는 각각 7%로 절반 가까이 줄었다.
2011년 혁신학교 지정 당시 1학년이었던 이들의 2014학년도 대학진학률은 A고(32%), B혁신고(32%), C혁신고(38%)로 나타났다. 전국 대학 진학률은 비슷한 수준이지만 서울 시내 4년제 대학 합격률에서 혁신고가 더 높은 성과를 거뒀다는 게 시 교육청의 설명이다. 시 교육청은 분석에서 서울 시내 4년제 대학 합격률은 A고가 14%, B혁신고(19%), C혁신고(17%)로 나타나 혁신고가 입시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성적을 거뒀다고 주장했다.
시 교육청 최용환 연구원은 이번 분석을 두고 신입생 입학 성적과 가계 소득 등 비슷한 조건의 일반고를 비교 대상으로 제시했지만 사례비교의 특성상 혁신학교와 일반고의 학업성취도를 일반화하는 데는 무리가 있다고 한계점을 밝혔다.
전문가들은 입시경쟁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난 다양한 교육이 혁신학교의 본래 취지였던 점을 고려할 때 혁신학교의 성과는 서울 4년제 대학 진학률이 아니라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날 한국교직원총연합회(교총)는 “교육청에서 일반고와의 상대평가 방식을 통해 특정 학교의 학업성취도를 홍보하는 방법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논평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