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10일 오후 시청 간담회장에서 열린 ‘공공의료 마스터플랜 청책(聽策)워크숍’에서 ‘트라우마 치료센터’ 설립, ‘보호자 없는 병원’ 확대 등 보건 정책 방향을 발표했다.
시는 외부 전문기관에 위탁하는 방식으로 트라우마 치료센터를 만들어 용산참사로 가족을 잃은 충격이나 과거 민주화 운동을 하다 고문을 받아 후유증에 시달리는 시민, 우면산 산사태처럼 대규모 재난 피해자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등의 치료를 도울 계획이다.
센터는 환자들을 위한 복지ㆍ의료ㆍ법률 서비스까지 한 번에 지원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게 된다. 모현희 시 보건정책과장은 “센터에 필요한 인력이나 운영방식 등에 대한 연구 용역을 발주했고 올 하반기 마무리되는 대로 구체적인 센터 설립 계획을 세울 것”이라고 말했다.
시는 또 서울의료원뿐 아니라 2014년까지 모든 시립병원을 ‘보호자 없는 병원’으로 만들어 병원이 간호사와 간호인을 직접 고용해 환자와 그 가족이 부담을 덜 수 있게 하겠다고 밝혔다.
시내 53개 응급의료기관 중 20여곳을 소아·여성·노인·정신 등 4개 분야로 나눠 특화하고 휴·퇴직 한 간호사를 활용해 공공의료정책에 참여하게 지원하는 제도도 구상 중이라고 시는 설명했다.
서울시는 이달 말 공공의료제도 관련 마스터 플랜을 수립해 발표할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