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송광고시장이 '특혜' 회오리에 휩싸이고 있다. 논란의 핵심은 정치권이 '방송광고 판매대행사(미디어렙법)'안 논의 과정에서 종합편성채널과 일부 민영방송사가 독자적인 광고영업을 할 수 있도록 배려해주는 데 있다. 사실상 종편이 손쉽게 시장에 안착할 수 있는 길을 터준 꼴이다. 방송업계 및 산업계에서는 이 같은 특혜가 '금도'를 넘었으며 중소 방송프로그램공급(PP)업체 및 지역 방송사를 고사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광고주인 기업마저 미디어 메이저에 종속시키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는 비판이 거세다. ◇종편을 위한 특혜 지나쳐=27일 업계에 따르면 정치권이 사실상 합의한 미디어렙법은 1공영 다(多)민영, 종편의 미디어렙 의무위탁 2년 유예, 미디어렙에 대한 방송사 1인 소유지분 한도 40%, 지주사의 미디어렙 출자 금지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 가운데 논란을 증폭시키는 것은 종편을 미디어렙 울타리에서 뺀 점이다. 민주통합당 등 야권이 미디어렙 연내 처리를 위한 합의라고 내세우는 이유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종편 특혜를 묵인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종편이 한시적이라도 직접영업에 나설 경우 광고주에 대한 불합리하고 강압적인 영업행태가 만연돼 방송광고시장이 이전투구판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한 방송업계 관계자는 "시장이 진흙탕이 되면 중소 케이블업체나 지역 방송사가 경영상 어려움을 겪고 궁극적으로는 시청자가 가장 큰 피해를 입을 것"이라고 말했다. 종편이 미디어렙 위탁에서 제외되면 현재 지상파방송사들이 광고계약을 한국방송광고공사(코바코)에 위임하고 있는 현 체제가 일시에 무너지는 것은 물론 향후 방송 전체 광고거래 질서가 붕괴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종편이 광고 직거래를 하게 되면 다른 지상파 방송사도 직접영업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해 시장 혼란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SBS는 독자 미디어렙인 미디어크리에이트를 설립해 내년 1월부터 SBS와 지역민방, 계열 프로그램공급업체(PP)의 광고판매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MBC도 지난 26일 독자 미디어렙을 만들어 광고직거래 영업을 하겠다고 선언했다. 또 종편이 2년 뒤 미디어렙에 광고 위탁을 한다고 해도 직접영업의 길이 막히는 것은 아니다. 민영 미디어렙에 대한 방송사 지분 40%를 허용하면 종편이 2년 후 각자 출자한 미디어렙을 소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실상 종편을 보유한 신문이 방송을 쥐고 직접 광고영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방송업계 관계자는 "이는 방송과 광고의 부적절한 유착 차단이라는 미디어렙 본연의 역할을 포기하는 것과 같다"며 "방송의 공공성ㆍ공익성을 감안하면 종편도 지상파와 같이 미디어렙에 위탁하는 것이 옳다"고 말했다. ◇중소 미디어는 고사, 광고주도 압박 우려=종편 특혜의 폐해는 중소 방송사뿐 아니라 신문산업에도 심각한 피해를 입힐 가능성이 크다. 외국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나타난다. 1987년 프랑스 공영방송 TF1이 민영화되고 광고영업에 나선 후 광고시장에서 차지하는 방송 비중은 당시 22% 수준에서 10년 후 40%까지 치솟았으며 신문은 32%에서 27%까지 곤두박질쳤다.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KBSㆍMBCㆍSBS등 지상파 3개사의 광고 수익은 총 1조6,2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7%나 증가했다. 일각에서는 방송시장에서 종편의 직접광고가 허용되면 이 같은 편중 현상이 심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종편이 신문·방송을 묶는 미디어 파워를 내세워 현재도 지상파 광고액의 70% 수준까지 요구하고 있는 마당에 실제 직접광고가 묵인되면 광고주에 대한 압박은 더욱 높아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한 관계자는 "결국 종편 살리자고 중소 방송·신문사와 광고주를 희생양을 삼고 있는 것"이라며 "이를 방조하고 기정사실화하고 있는 정치권과 방통위는 비난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달 초 최시중 방통위원장은 대기업 광고책임자들을 불러 광고비 지출을 늘리라고 종용한사실이 드러나 사실상 종편 광고 확대를 압박했다는 의혹을 사기도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