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타르타스 통신 등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국가안보국방위원회는 이날 페트로 포로셴코 대통령이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이유로 그 대응책 논의를 위해 긴급소집한 위원회 비상회의에서 이같이 결정했다. 위원회 부위원장 미하일 코발은 회의가 끝난 뒤 브리핑에서 “오는 가을부터 징병제를 부활하기로 했다”며 “다만 징집병들이 동부 교전 지역에 파견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우크라이나는 모병제 전환을 추진해 올해부터 징병제를 폐지키로 했었다.
비상회의는 또 안보 위협 상황과 관련해 부다페스트 양해각서 서명국들과 협의를 진행하도록 외무부에 지시했다. 부다페스트 양해각서는 지난 1994년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미국·영국 간에 체결된 것으로, 우크라이나가 핵확산금지조약(NPT)에 가입하고 보유 핵무기를 자발적으로 포기하는 대가로 각서 서명국들이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안보, 영토적 통일성을 보장해 주기로 약속한 문서다. 지금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안보, 영토적 통일성이 위협받게 된 만큼 양해각서에 따른 약속 이행을 서명국들에 촉구하라고 전하라는 것이다.
위원회는 이밖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유럽연합(EU), 유럽안보협력기구(OSCE) 등에도 지원을 요청하기로 했다. 코발은 또 우크라이나가 조만간 미국의 주요 동맹국 지위를 획득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포로셴코 대통령은 이날 앞서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동부 지역 상황 악화를 이유로 터키 방문 계획을 취소하고 향후 행동계획 수립을 위한 국가안보국방위원회 비상회의를 소집했다.
그러나 러시아는 자국군의 우크라이나 진입 주장을 강하게 반박했다. 그는 우크라이나가 오는 30일로 예정된 EU 정상회의를 앞두고 EU가 러시아에 대해 비판적 성명을 내거나 제재를 가하도록 하려는 기대에서 언론을 통하거나 아니면 직접 허위 정보를 흘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