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문건 유출 파동으로 촉발된 이번 사건은 꼬리가 몸통(본질)을 흔드는 전형적인 '왝더독' 양상으로 진행되고 있다. 진영논리에 매몰된 일부 언론은 참고인 자격으로 조사를 받은 박 회장의 검찰 출석을 권력형 비리의 재연으로 기정 사실화하며 대중의 호기심만 자극하고 있다. 야당은 이를 받아 정치공간에서 더욱 확대 재생산하면서 시빗거리를 이어가고 있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국회 본연의 입법 기능이 표류하고 있다는 점이다. 정기국회 종료 후 시급한 경제·민생법안을 처리하기 위해 소집된 임시국회는 정작 현안인 공무원연금법, 부동산 3법, 서비스산업기본법 등에 대한 입법 논의를 한 발자국도 진전시키지 못하고 있다. 새누리당이 연내 처리하기로 한 공무원연금 개혁은 슬금슬금 내년 상반기 처리까지 늦춰지더니 야당은 아예 '탄력 처리'를 주장한다.
국정 최고위층에 비선이 존재했는지 여부와 이들이 국정개입을 했는지는 반드시 한 점 의혹 없이 규명돼야 한다. 그러나 검찰 조사가 끝나지 않은 상황에서 이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시도 또한 경계해야 마땅하다. 국회는 있는지 없는지 모를 청와대 비선 못지않게 경제와 민생을 위해 해결해야 할 일들이 산적해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