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진국 가운데 가장 빠른 경기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영국에서 부동산 거품이 최대 경제 리스크로 부상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과거에 침체된 경기를 살리기 위해 내놓았던 대출완화 조치 등 건설경기 부양책을 거둬들일 방침임을 시사했다.
마크 카니 영국중앙은행(BOE) 총재는 18일(현지시간) 한 방송 인터뷰에서 "금융안정과 지속적인 경제회복의 최대 걸림돌은 주택시장"이라며 "중앙은행은 이 문제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이날 파이낸셜타임스(FT)가 전했다. 영국 정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부동산 가격은 10.9% 상승했으며 특히 런던 지역은 18%나 올랐다. 부동산 거래도 열기를 띠면서 지난 한해 동안 주택거래 건수는 전년 대비 30% 이상 급증했다. 최근 런던에서는 한 채에 2억4,000만달러짜리 초고가 아파트가 등장하기도 했다.
천정부지로 치솟는 영국 주택 가격에 대한 경고음은 이미 곳곳에서 나왔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최근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BOE에 집값안정화 대책을 주문한 바 있다. 존 컨리프 BOE 부총재도 이달 초 "주택 가격 상승속도는 무시하기에 위험한 수준"이라고 경고했다.
카니 총재는 이날 이 같은 경고에 그치지 않고 집값 억제를 위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금리인상처럼 거시경제 전반에 영향을 주는 대책보다는 세밀하게 조율된 미시정책을 내놓겠다는 것이 그의 입장이다. 그는 "이번 조치는 비교적 작은 범위에서 특정 분야에 국한된 정책이 될 것"이라며 "주택담보대출(모기지) 시장 전반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시행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대해 FT는 "다음달 열리는 BOE 금융정책위원회(FSC)에서 대출억제 조치가 나올 가능성이 커졌다"고 분석했다. 가장 먼저 거론되는 조치는 지난해 부동산 경기 활성화를 위해 도입된 영국판 공유형 모기지 제도 '헬프투바이(Help to Buy)' 제도의 축소다. 연소득 6만파운드(약 1억원) 이하인 생애최초주택 구입자들이나 주택교체 실수요자들이 집값의 5%만 있으면 60만파운드(약 10억3,000만원)까지 대출 받을 수 있도록 한 이 제도는 그동안 부동산 거품을 부추긴다는 논란을 일으켜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