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버지니아공대에서 발생한 한국인 조승희씨의 총기난사 사건이 현지 교민과 기업에 대한 인식과 한미 관계 악화 요인으로 부각되자 한국 정부와 미국 한인단체가 다각적인 대책 마련에 나섰다. 정부는 이번 참사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미 의회 비준동의안 처리와 한미 비자면제 협상 등에 악재가 되지 않도록 필요한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고 미국 내 한인단체들도 추모기금 조성을 추진하는 등 파장을 줄이기 위한 총력전에 돌입했다. 버지니아공대에서는 이날 조지 W 부시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희생자 추도식이 열렸으며 교황을 비롯 세계 주요국 지도자들도 애도의 뜻을 밝혔다. 노무현 대통령은 18일 오전 송민순 외교통상부 장관과 청와대 수석ㆍ비서관들이 참석한 가운데 미국 버지니아공대 총기난사 사건에 관한 긴급 대책회의를 주재하고 대응책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사건 용의자가 이민 1.5세인 한국계 교포학생으로 밝혀진 만큼 한인 피해방지책이 집중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이번 사건이 FTA 타결을 계기로 조성된 우호적인 양국 관계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지 않도록 하는 방안 등도 거론된 것으로 전해졌다. 노 대통령은 이어 이날 청와대에서 로마노 프로디 이탈리아 총리와의 정상회담 직후 가진 공동 기자회견 말미에 “버지니아공대에서 일어난 비극적 사건에 대해 저와 우리 국민은 크나큰 충격과 함께 비통한 심정을 금할 수 없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이와 별도로 주미 한국대사관을 통해 부시 대통령에게 보낸 위로 전문에서 “비극적 사건에 충격을 금할 수 없으며 부시 대통령을 비롯한 미국 국민과 슬픔을 같이 하고자 하며 희생자와 부상자, 그 가족, 그리고 미국 국민에게 위로와 애도의 뜻을 표한다”며 “부시 대통령의 지도력 아래 사건이 조속히 수습돼 미국 국민들이 충격과 슬픔에서 하루 빨리 벗어날 수 있기를 진심으로 기원한다”고 밝혔다. 노 대통령은 그러나 이번 사건이 국가 대 국가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감안, 부시 대통령과 별도 통화는 하지 않기로 했다. 이번 사건으로 충격에 휩싸였던 미국 내 한인단체들도 버지니아공대 총기난사 사건 희생자를 돕기 위해 추모기금 마련 등 적극적인 대응에 돌입했다. 한미연합회와 미래재단ㆍ남가주한인학생회 등 3개 한인단체는 17일(현지시간) 이번 총기난사 사건에 깊은 애도를 표하고 희생자와 유가족을 돕기 위한 ‘버지니아공대 추모기금(Memorial fund for Victims of VA Tech Shooting)’을 조성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지애 한미연합회 워싱턴지부 회장은 “미국 내 한인사회는 이 펀드가 이번 사건의 희생자와 가족들이 충격에서 벗어나 새로운 삶을 시작하는 데 일조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