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건축문화대상은 국내 최고 권위의 건축상이라는 위상에 걸맞게 작품 선정 과정도 까다롭다. 2011 한국건축문화대상은 지난 1월 서울경제신문과 국토해양부ㆍ대한건축사협회 등 3개 주최기관과 한국토지주택공사(LH)ㆍ대한건설협회ㆍ대한주택보증ㆍ한국주택협회ㆍ대한주택건설협회 등 5개 후원기관이 참여하는 제1회 시행위원회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수상작 선정에 들어갔다. 시행위원회는 그 해 접수ㆍ심사ㆍ행사 일정 등 세부적인 계획은 물론 제도 개선, 수상작의 승인 등 한국건축문화대상의 전 과정을 책임지는 최고 의결기구다. 작품 접수는 준공건축물부문의 경우 6월7일 참가신청을 받아 그달 9~10일 이틀간 작품을 접수했다. 계획건축물부문은 5월30일부터 6월3일까지 참가신청을 받은후 6월7~8일 이틀간 작품계획안을 받았다. 올해 준공건축물부문에는 ▦사회공공부문 30점 ▦민간부문 39점 ▦공동주거부문 7점 ▦일반주거부문 15점 등 모두 91개 작품이 접수됐다. 대학생 등이 참여하는 계획부문에는 총 575점이 응모했다. 심사위원 선정도 엄격하게 이뤄진다. 3개 주최기관이 추천한 심사위원 후보자를 대상으로 시행위원회가 결격사유 등을 엄격히 따져 이중 일부를 탈락시키게 된다. 심사위원에게는 일정 수준 이상의 전문적 식견을 요구함은 물론이다. 준공건축물부문은 3단계 심사의 엄격한 과정을 거쳐 수상작이 확정됐다. 우선 출품작 전체를 대상으로 서류 및 사진ㆍ도면 심사를 통해 30점의 현장심사 대상작을 추려냈다. 현장심사는 지방과 수도권에 걸쳐 나눠 진행됐다. 작품들이 전국에 흩어져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현장심사는 총 6일간 이른 새벽부터 저녁까지 계속되는 심사와 이동의 강행군이었다. 심지어 심사위원들은 작품 하나를 심사하기 위해 차량으로 전남 해남의 땅끝마을까지 찾아가는 수고를 마다하지 않았다. 최종 수상작은 현장심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심사위원의 토론을 거쳐 결정됐다. 작품들의 수준이 높다 보니 최종 수상작 선정 과정에서 치열한 논쟁이 오가기도 했다는 후문이다. 계획건축물부문 역시 작품계획안을 바탕으로 한 1차심사와 패널 및 모형에 대한 2차 심사, 그리고 출품자가 직접 심사위원을 상대로 프리젠테이션하는 3차 심사를 거쳐 수상작을 가려냈다. 하지만 이렇게 가려진 수상작들은 다시한번 시행위원회의 의결을 거친 후에야 최종 수상작 선정의 영예를 안을 수 있게 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