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계는 일단 이번 개편안의 필요성과 방향에 대해서는 대체로 공감하면서도 실제 학습부담 경감 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수능시험 복수시행과 시험과목 수 축소에 따른 제외과목 수업 파행 등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다.
수능 응시횟수 확대에 찬성 입장을 밝힌 이경자 공교육살리기학부모연합 상임대표는 "수능에 '올인'하는 현 제도는 분명 문제가 있다"면서 "앞으로 수능이 본 듯 안 본 듯 할 정도의 시험이 됐으면 하는 것이 솔직한 심정"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복수시행은 난이도를 조절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연구회는 원점수체제였던 지난 1994학년도와 달리 표준점수체제인 현 수능에서는 심각한 난이도 차이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이기종 국민대 교수(교육학)는 "복수시행은 교육적으로는 바람직할지 몰라도 현실적으로는 난이도 조절 문제와 필연적으로 맞닥뜨릴 수밖에 없다"며 "두 시험 간 난이도 조절과 변별력 확보에 실패할 경우 수능시험 무용론이 불거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수능 응시횟수 확대가 오히려 수험생들의 시험준비 부담을 가중할 수 있고 응시과목 축소도 유사 과목끼리의 통합을 전제로 한 것이므로 학습부담을 대폭 경감할 정도는 아니라는 지적도 있다. 이영덕 대성학력개발연구소장은 "대부분의 수험생이 두 차례 시험에 응시할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낭비적인 요소가 많다"고 말했다.
오종운 이투스청솔평가연구소장도 "국어와 영어의 수준별 응시는 종전보다 진일보한 측면이 있지만 현실적으로 대학에서 각 영역을 어떻게 반영할지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은 상황에서는 실제 수험생들이 국영수 모두 AㆍB형을 모두 준비하다 막판에 유형을 결정하기 때문에 시험부담 경감효과는 크지 않고 오히려 지금보다 늘어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또 수능 비중이 줄어들면 본고사ㆍ논술 등 대학별 고사가 부활할 수 있다는 우려와 응시과목 축소로 수능에서 제외되는 과목의 경우 다른 과목의 입시준비용으로 변질되는 등 교육과정의 파행 운영도 예상된다. 김재원 부산 대동고 교사는 "수준별 시험의 취지는 좋지만 자칫 쉬운 유형으로 쏠리면 학생들의 학력저하가 염려된다"면서 "대학별로 어떤 과목과 유형을 대입에 반영할 것인가에 따라 일부 과목은 파행을 겪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