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1년 동일본대지진과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 이후 지금까지 일본 내 전기요금이 25% 이상 뛴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정부가 14일 각의에서 확정한 '2014년도 에너지백서'에 따르면 가정용 전기요금은 대지진 이후 평균 25.2%, 산업용 전기요금은 38.2% 올랐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2014회계연도(2014년4월~2015년3월)의 가정용 전기요금은 ㎾당 25.51엔(245.43원), 산업용 요금은 18.86엔을 각각 기록했다.
백서에 따르면 대지진 발생 이후 절전의식이 확립되면서 일본 가정의 전기 사용량은 대지진 전인 2010년부터 2014년 사이 7.7% 줄었다. 하지만 요금이 오른 탓에 전기사용에 따른 지출액은 같은 기간 13.7% 증가했다. 이 기간 중 전체 가계지출이 0.3% 증가에 그친 점을 감안하면 가계에서 차지하는 전기요금 부담이 크게 늘어난 셈이다. 특히 도쿄를 포함해 도쿄전력 관내 가구당 전기요금은 대지진 발생 전인 2010회계연도의 월 6,308엔에서 지난해에는 8,452엔으로 34%나 늘었다.
일본 언론들은 대지진 이후 원전 가동이 장기간 중단되면서 화력발전 연료비가 늘어난 것이 전기요금 상승의 배경이 됐다며 저소득층 가정의 경우 가계 지출에서 차지하는 전기요금 비중이 커 심각한 영향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본의 전기요금이 서구 국가들에 비해서도 높은 수준으로 2013년 기준으로 미국·영국·독일·프랑스와 비교할 때 가정용 전기요금은 독일에 이어 두 번째, 산업용 요금은 5개국 중 가장 높았다고 백서는 전했다.
백서는 셰일혁명으로 에너지 자급률이 개선된 미국과 달리 일본은 원전 정지로 에너지 자급률이 저조하다고 지적하면서 내년부터 미국 액화천연가스(LNG) 공급이 시작되면서 에너지 수입원이 다변화하면 "에너지 안보가 강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