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서울시가 발간한 ‘통계로 본 서울 가족구조 및 부양변화’에 따르면 올해 서울 시내에서 ‘부모와 미혼 자녀’로 구성된 가족 비중이 33.6%로 가장 놓았다.
2위는 27%를 기록한 1인 가구였고 부부(13.5%), 한부모(10.5%), 조부모와 손자녀(0.7%)가 뒤를 이었다.
하지만 ‘부부+미혼자녀’ 가구의 비중은 갈수록 줄어드는 반면, 1인 가구의 비중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부부와 미혼자녀’ 가구는 2000년만 해도 49.8% 였지만 올해는 16.2%포인트나 줄었다. 이러한 추세가 계속된다면 2030년에는 25.4%까지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반면 2000년 16.3%에 불과했던 1인 가구는 올해 11.7% 포인트가 늘었다. 이대로 간다면 2030년에는 30.1%로 늘어 ‘부부+미혼자녀’를 넘어설 전망??
부부 가구는 2030년 17.9%, 한부모 가구는 11.2%, 조부모와 손자녀 가구는 1.3%까지 늘 것으로 예측됐다.
조부모와 부부, 미혼자녀 등 3대 이상이 함께 사는 가구는 2000년 7.4%에서 올해 5.4%로 줄었고, 2030년에는 4.6%로 감소할 전망이다.
서울시는 가족 규모가 줄어드는 것은 미혼·이혼·별거 증가와 저출산·고령화 때문으로 분석했다.
실제로 인구 고령화로 60세 이상 가구주의 비중은 2000년 15.2%에서 올해 27.1%로 늘었고 2030년에는 44.4%가 될 전망이다.
2000년만 해도 가구주의 주요 연령층은 30대(26.1%)와 40대(27.2%)가 전체의 과반이었지만 올해는 50대(23.4%)와 60대(27.1%)가 절반을 넘었다.
한편, 노인 복지 확대를 위해 세금을 추가로 낼 의향이 있다고 답한 서울시민은 2007년 26.1%에서 2013년 37.3%로 늘었다고 서울시는 밝혔다.
/디지털미디어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