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긴축 시점은 경제 전문가들이 올해 우리 경제를 좌우할 핵심 가늠자 중 하나였다. 그만큼 중국의 금리 인상과 이와 맞물린 출구 전략은 우리 경제에 예상보다 큰 규모의 후폭풍을 몰고 올 가능성이 높다. 금리정책 등 단기적인 정책 운용뿐만 아니라 수출 등 거시 경제 전반의 틀에도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긴축과 동시에 위안화 절상 시기가 빨라질 경우 이에 따른 반사이익을 부분적으로 거둘 수 있다는 전망도 없지 않다. ◇중국의 긴축… 빨라지는 출구 전략=중국이 21일 두자릿수 경제성장률을 발표, 금리인상 시기가 임박했다는 전망이 제기되면서 우선 관심이 모아지는 것이 우리나라의 출구전략 시행 시점이다. 당장 이날 중국의 지난 4ㆍ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10.7%로 나오자 1ㆍ4분기 내 금리인상도 가능하다는 분석이 팽배하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높은 성장률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하면서 위안화 절상 시기도 예상보다 앞당겨질 것으로 보고 있다. 먼저 중국의 출구 전략 가동으로 우리의 정책 운용, 특히 금리 결정에 영향을 줄지가 관심이다. 물론 중국이 금리 인상에 나서더라도 국내 기준금리 인상 등에 곧바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행의 한 관계자는 "중국의 경기회복은 상당 부문 반영돼 있는 만큼 중국 보다는 금융위기의 진원지였던 미국이나 유럽연합(EU) 등 선진국의 경기회복 속도가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모든 국가가 출구의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는 상태에서 중국이 금리인상의 신호탄을 쏜다면 우리도 금리인상 시점을 결정하는 데 어떤 식으로든 영향을 받을 공산이 크다. 전망은 크게 두가지로 양분된다. 우선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의 이머징마켓도 경기회복이 빠르게 전개되고 있어 출구전략의 서두를 필요성이 높아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즉 한국도 대규모 부양책을 펴고 있고 낮은 금리를 유지하고 있어 조만간 출구전략에 가세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달 말 나오는 GDP 성장률이 예상보다 높을 경우 이러한 주장에 힘이 실릴 수 있다. 하지만 중국의 긴축이 글로벌 경기둔화로 이어져 수출부진 현상이 나타날 경우 국내 경기회복에 악영향을 줄 수밖에 없어 금리인상 시기가 미뤄질 수 있다는 분석도 상존한다. 특히 정부가 경기 회복이 우선이라는 입장을 유지해왔기 때문에 이 같은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황인성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우리도 4ㆍ4분기 GDP가 6%를 넘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다시 금리인상 논란이 뜨거워질 것"이라며 "다만 세계 경제흐름이 아직 해소되지 않아 섣부르게 금리를 올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해석했다. 중국의 금리인상이 직접적인 트리거가 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거시 경제 강한 후폭풍=중국의 긴축은 수출 등에도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자타가 공인하는 우리나라의 최대 수출국. 지난해 중국에 대한 수출액은 830억달러에 달해 우리나라 전체 수출의 23.9%에 이른다. 하지만 긴축에 들어갈 경우 수출에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우리 제조업 상당수가 중국 현지 생산 체제로 돼 있다지만 현지 내수가 줄어들면 우리의 수출, 특히 주력 수출품인 가전과 자동차 등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물론 중국의 긴축을 무조건 부정적으로만 바라볼 필요는 없다는 분석도 있다. 긴축이 위안화 절상으로 이어질 경우 상황은 다소 달라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산업은행 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위안화가 10% 절상될 경우 수출증가율은 3.62%포인트, GDP 성장률은 0.32%포인트 각각 올라갈 것이라고 분석되고 있다. 중국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커지고 중국과의 가격경쟁력에서 우리가 유리해져 수출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