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가 국립서울과학관을 새로 짓기 위해 서울 강북 지역 기초자치단체에 부지 무상 공여에 건축비 분담까지 요청해 빈축을 사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들은 공짜로 줄 수 있는 땅도 없을뿐더러 건축비 분담은 말도 안 된다며 정부 계획에 대해 '손 안 대고 코 풀려 한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서울과학관은 지난 6월10일부터 장기휴관에 들어갔다. 원래 건물 소유주인 문화체육관광부가 청사를 이전하기로 하면서 본관을 비워주고 옆 건물인 특별전시관으로 전시물을 옮기고 있다. 오는 9월 초 재개관하더라도 전시관 규모는 현재의 70% 수준으로 축소된다. 교과부는 2008년 개관한 과천과학관이 서울과학관 관람객을 상당 부분 흡수할 것으로 보고 문광부 청사 이전에 따른 대안을 전혀 마련하지 않았다. 2008년 193만명이 찾았던 서울과학관은 과천과학관 개관으로 지난해 관람객 수가 49만명으로 줄었다. 그러나 인구 1,000만명이 넘는 대도시에 제대로 된 과학관이 없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는 시민들과 과학계의 지적에 따라 부랴부랴 새로 짓기로 결정했다. 교과부의 한 관계자는 4일 "지금과 비슷한 규모로 서울 강북 지역에 과학관을 새로 짓기 위해 서울시 등과 협의하고 있다"면서 "과학체험 위주의 교육센터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문제는 예산이다. 부지 예산을 확보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교과부는 지난달 초 이전 대상지 조회에 들어가면서 서울시에 땅을 매입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전 대상지는 종로구와 중구ㆍ용산구를 제외한 강북 지역 자치구로 부지 규모는 연면적 1만6,000㎡ 정도다. 3.3㎡당 1,000만원으로 계산해도 500억원 정도가 필요하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부지 매입 비용이 들지 않는 국ㆍ공유지 중 비어 있는 땅이 거의 없다"면서 "정부가 돈을 안 들이고 과학관을 이전하려 해 자치구들이 매우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고 귀띔했다. 교과부는 땅값뿐 아니라 건축비도 서울시나 자치구들과 협의해 분담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대해 서울시와 자치구들은 "지자체도 돈이 없어 국고 지원을 받고 있고 특히 강북 지역은 재정 상태가 강남에 비해 열악한데 이러한 조건에 응할 자치구가 있을지 의문"이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국가 소유의 건물을 짓는데 지방비를 내라는 것이 말이 되느냐는 것이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지역 내에 과학관이 들어서는 데 마다할 사람은 없을 것"이라면서도 "부지 마련이나 건축비 등에서 지자체가 일정 부분을 부담하더라도 최소한으로 하는 계획이 나와야 할 것"이라는 입장 나타냈다. 교과부는 이달 중 부지가 확보돼야 건축비 등 관련 예산 확보를 위한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그러나 내년에 착공하더라도 공사기간이 3년가량 걸리기 때문에 강북 지역 주민들과 청소년들은 과학관 이용에 애로를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과학계의 한 관계자는 "과학관 1개당 인구 수가 우리나라는 68만명으로 미국이나 일본 등의 12만~16만명에 비해 여전히 부족하다"면서 "과학관에 대한 정부의 투자가 아직은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