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계 의원들은 그가 박근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과 몇 차례 소통에 어려움을 느끼면서 '친박 내 야당' 역할을 자임한 것으로 해석했다. 친박계 의원 일부는 그의 발언 수위와 언론을 통해 제기한 방식을 문제 삼았다. 한편 친이명박계 쪽에서도 유 의원 발언의 배경에 주목했다.
영남의 한 친박계 의원은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박 위원장이 (대하기) 어려운 사람인 것은 모두 마찬가지지만 이는 그가 신중하기 때문"이라면서 "친박계에서 김형태ㆍ문대성 당선자 공천에 관련한 사람은 제외하고 일을 하기 위해 당 지도부에 출마하는 것을 친박계라고 무조건 막아야 하는가"라고 반박했다.
한 친박계 인사는 "박 위원장에게 융통성이 없다고 하지만 약속을 꼭 지키기 위해서는 융통성은 포기해야 한다"면서 "중요한 것은 수도권 출신 의원을 당 대표에 앉히는 게 아니라 손에 잡히는 정책 실천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당내 일부에서는 2007년 대선 경선캠프에서 정책메시지총괄팀장이었던 그가 현재 친박계 핵심 중진의원 중 한 사람인 최경환 의원과 경제민주화 방안에서 이견을 빚는 게 원인이라는 분석도 있다. 현실론을 강조한 최 의원에 비해 유 의원은 좀 더 확실한 색깔을 내야 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최 의원 측 관계자는 "경제민주화를 있는 그대로 추진하면 기존 법과 충돌하기 때문에 공정거래법 강화 등 할 수 있는 것부터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친박계 의원들은 대부분 유 의원이 박 위원장을 설득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친박계의 한 인사는 "지도자를 설득하려면 참모 혼자 주장할 것이 아니라 주변의 공감을 얻어 여럿의 목소리로 전달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