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실물경기 둔화 우려가 현실화하며 올해 중국 정부가 15년 만에 성장률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경제정책을 총괄하는 리커창 총리는 중국 경제의 질적 전환을 위해 단기 고통을 각오하고 부양책을 내놓지 않겠다는 이른바 '리코노믹스(Likonomics)'를 고수해 올해 내 급격한 경기회복도 물 건너갔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자칫 단기유동성 위기에 이어 실물경기까지 어려울 경우 중국 경제는 최악의 시나리오인 경착륙의 위험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1일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6월 제조업 구매자관리지수(PMI)는 50.1로 전달보다 0.7포인트 낮아졌다. 블룸버그 등의 예상치와 일치하기는 하지만 지난 2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며 경기확장과 위축의 기준선인 50에 간신히 턱걸이했다. 특히 신규주문지수와 생산지수가 전달보다 각각 1.3, 1.4포인트 하락해 다시 반등세를 보이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발표한 HSBC 6월 PMI 확정치도 48.2로 두 달 연속 50 밑으로 하락해 중국 경제가 위축되고 있음을 나타냈다.
중국 정부와 대다수 전문가들은 제조업 부진이 글로벌 수요둔화와 재고증가의 영향도 있지만 6월 PMI 하락은 중국 은행권의 심각한 단기 유동성 위기가 실물경제에 타격을 입힌 것으로 분석했다. 루리강 ANZ 이코노미스트는 "지난달에 나타난 신용경색이 모든 부문의 상황을 악화시켰다"며 "은행 간 자금경색은 부외대출을 둔화시켜 중소기업의 자금난이 가중됐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6월 단기유동성 위기 이후 중국 기업들은 자금결제에 어려움을 겪으며 은행어음 이용이 크게 늘고 있다고 노무라증권은 전했다.
단기유동성 위기와 제조업 부진으로 중국의 2ㆍ4분기 경제성장률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1ㆍ4분기 중국 성장률은 7.7%로 직전분기의 7.9%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골드만삭스는 일찌감치 2ㆍ4분기 중국 경제성장률을 7.8%에서 7.5%로 낮췄다.
문제는 3ㆍ4분기와 4ㆍ4분기에도 극적 반전의 가능성이 낮다는 것이다. HSBC와 골드만삭스는 올해 중국의 경제성장률을 7.4%로 예상하며 중국 정부 목표치인 7.5%보나 낮춰 잡았다. 이대로라면 리커창 경제팀은 1998년 이후 15년 만에 처음으로 경제성장률이 정부 목표에 미달하는 경제팀이 될 수 있다.
위기 신호가 지속되고 있지만 중국 정부는 여전히 단기부양책을 처방하지 않고 경제개혁 조치를 계획대로 추진할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리 총리는 지난달 28일 "중국 경제의 성장속도는 합리적인 구간"이라며 안정성장과 통화팽창 억제, 구조조정 등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꼭 필요한 곳에는 유동성을 공급하겠지만 경기둔화를 감수하더라도 그림자금융 규제는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시진핑 국가주석 역시 다음달 전국조직회의에서 "국내총생산(GDP) 성장률만으로 지방관료의 실적을 평가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민생개선과 환경ㆍ사회발전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 거시경제의 위험신호에 대한 전문가들의 해법은 엇갈린다. 대다수는 경기가 하락세를 보이지만 경착륙 위험은 없는 만큼 정부 정책을 믿고 기다려야 한다는 의견을 보이고 있다. 특히 최근 유동성 경색에도 금리인하가 아닌 인상 카드를 꺼내야 한다는 주장 또한 나온다.
UBS증권 아시아지역 이코노미스트를 지낸 조장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터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중국 경제는 마오타이(유동성)를 지나치게 많이 먹어 고혈압에 걸린 비만한 중년남성의 모습"이라며 "유일한 치료는 음식량 조절(유동성 조절)과 운동(금리인상)뿐"이라고 지적했다. 조장은 27년간 21.1%에 달하는 광의통화량(M2) 증가율은 거품을 만든 만큼 경제불균형 해소를 위해 당장 금리를 1%포인트 올리고 연말에 다시 1%포인트를 추가로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일각에서는 지나친 유동성 조이기가 경기침체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경고를 내놓고 있다. 주하이빈 JP모건 이코노미스트는 "정책목표는 올바르지만 실행단계에서 착오가 있다"며 "규제로 인한 금융시장 혼란이 금리상승으로 이어지면 실물경제에 직격탄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