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이 처음으로 일본을 앞질렀다. 매년 세계경쟁력 순위를 집계, 발표하는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은 이 같은 내용의 올해 경쟁력평가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평가 결과 우리나라는 올해 세계경쟁력평가에서 지난해보다 4계단 상승한 23위를 기록했다. 반면 일본은 지난해 큰 폭의 재정적자와 성장률 하락으로 전년 17위에서 27위로 무려 10계단이나 하락했다. IMD 세계경쟁력 순위는 국내총생산(GDP), 고용지표 등 통계지표와 정부 효율성, 인프라 구축 등 주관적 내용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매기는 국가 성적이다. 절대적인 나라 간 비교 잣대로 삼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지만 부문별 순위나 정책과제 제시 등에 있어서는 의미를 둘 수 있다는 게 정부 측의 설명이다. 조사 대상 58개국 중 우리나라는 23위를 기록해 지난 1997년 조사가 시작된 후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싱가포르가 지난해보다 2계단 상승해 1위를 차지했고 홍콩ㆍ미국ㆍ스위스ㆍ호주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선진국 중에서는 스웨덴(6위), 캐나다(7위), 독일(16위) 등이 순위가 높은 반면 프랑스(24위), 이탈리아(40위) 등은 우리보다 뒤졌다. 부문별로 보면 우리나라는 장기실업률에서 조사국 중 1위를 기록한 것을 비롯해 ▦외환보유액(6위) ▦1인당 GDP 성장률(8위) ▦인재 유치에 대한 기업의 우선순위(1위) ▦연구개발(R&D)인구 대비 특허 획득 건수(1위)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반면 노사관계 생산성이 56위를 기록한 것을 비롯해 ▦초ㆍ중등교사 1인당 학생 수(51위) ▦이민법의 외국인근로자 고용 저해(56위) ▦환율 안정성(53위) ▦노령화(54위) 등에서는 매우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부채에 대한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우리나라는 지난해 기준 GDP 대비 33%로 문제가 없는 것으로 평가됐다. 반면 일본은 오는 2084년, 이탈리아는 2060년이 돼야 정부부채를 GDP 대비 60% 미만으로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됐다. 하성 기획재정부 미래전략정책관은 “글로벌 경제위기 속에서도 빠른 경기회복세를 시현해 2년 연속 국가경쟁력이 상승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교육경쟁력, 의료 서비스, 외국인투자 유치 등 약점으로 지적된 부문에 대한 지속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