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과 한명숙 민주통합당 대표가 북핵을 화두로 이명박 정부와 선긋기에 나섰다.
핵안보정상회의 학술회의에서 기조연설을 맡은 박 위원장과 한 대표는 28일 각각 유연한 대북정책을 북핵 폐기의 해법으로 제시했다. 박 위원장은 북한의 변화를 촉구했고 한 대표는 남북교류를 막은 현 정부의 조치를 먼저 해결하라고 요구했다.
◇한목소리로 대북 유연 대응 강조=여의도 63빌딩에서 열린 '2012 핵안보정상회의 국제학술회의'에서 두 사람은 현 정부의 대북정책에 변화를 강조했고 북핵 폐기를 위해 적극 나서겠다고 주장했다.
박 위원장은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제안하며 "우리의 대북정책은 국민적 공감대를 바탕으로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미래지향적으로 진화해야 한다. 저와 새누리당은 북한이 새로운 결단하는 데 도움이 된다면 가능한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산가족 문제 등 인도적 교류를 지렛대 삼아 현 정부 들어 침체한 개성공단 같은 경제협력을 확대할 뜻도 나타냈다.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을 막은 5ㆍ24 조치에 우리 정부가 유연하게 나설 것을 에둘러 강조한 셈이다.
한 대표는 남북관계 개선을 통한 북핵 문제 해결의 '창조적 촉진자' 역할에 나서겠다고 공언했다. 그는 "북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남북관계 개선부터 시작할 것을 천명한다"며 "남북관계를 가로막고 있는 5ㆍ24 제재 조치의 철회를 주도하고 6ㆍ15 공동선언과 10ㆍ4 선언의 이행 등을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안보강조 VS 원전반대=그러나 두 사람이 남북대화의 원칙으로 삼은 발판은 달랐다. 박 위원장은 박정희ㆍ노태우 정부 시절에 맺은 7ㆍ4 공동성명과 남북기본합의서와 김대중ㆍ노무현 정부가 체결한 6ㆍ15 및 10ㆍ4 선언을 묶어 설명했지만 한 대표는 7ㆍ4 공동성명과 남북기본합의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한 대표는 대신 2005년 당시 정동영 통일부 장관의 김정일 면담을 새로운 해법의 하나로 소개했다.
두 사람이 현 정부의 대북정책 외에 비판한 대상도 엇갈렸다. 한 대표는 "임기 4년을 맞는 이명박 정부는 잃어버린 평화, 남북대화 실종, 북핵 문제 악화, 안보 무능, 북한의 중국 의존 심화로 대표되듯 완전히 실패했다"고 공격했고 이명박 정부의 원전 확대 정책에 대해서도 "시대착오적인 방향"이라고 깎아내렸다.
반면 박 위원장은 "북한은 지난 20년간 핵개발에 집착함으로써 너무나 많은 이익과 기회를 잃었다"면서 "어떤 상황에서도 군사적 도발은 용납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