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제5차 국민경제자문회의를 주재하면서 “이번에 실시하는 국가안전대진단은 기존의 안전진단과는 차원을 달리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대통령은 정부가 올 하반기 실시하는 안전대진단과 관련, “국민 개인이 생활 속에서 느끼는 위험요인에서 출발해 대중이용시설이나 교통수단과 같이 눈에 보이는 하드웨어와 보이지 않는 제도나 관행과 같은 소프트웨어 진단도 대상에 포함돼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안전에 대한 투자도 늘려야 한다”며 “당장 급한 것은 예비비를 사용해서라도 연내 보수보강에 착수하고 나머지는 안전예산을 최대한 확대해 개선하라”고 주문했다.
박 대통령은 “안전대진단과 안전투자확대를 안전산업육성의 계기로 적극 활용해야 한다”며 “재난재해 보험상품 개발을 촉진하고 보험사에 방재컨설팅을 허용하는 등 새로운 금융서비스 모델의 창출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박 대통령은 금융혁신과 관련, “금융혁신이 창조경제 구현의 중요한 기반이라고 생각한다”며 “지금 시중에 돈은 넘쳐나고 있다는데 창업 벤처기업은 여전히 기술금융에 목말라 있다”고 지적했다.
또 “기술력을 평가할 수 있는 신뢰할 만한 수단이 없고 뭐하러 굳이 위험을 부담하느냐는 금융권의 보신주의가 팽배해 있는게 지금의 현실”이라고 지적하며 “지난 7월 가동을 시작한 기술신용평가시스템은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첫 걸음”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