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원순 서울시장 측이 한강변 초고층 재개발 프로젝트의 '수정' 방침을 밝히면서 5개 전략정비구역 사업의 앞날도 불투명해졌다. 한강변 전략정비구역 개발 방안은 용적률을 높여 최고 50층까지 초고층 아파트 건립을 허용하되 사업부지의 최대 40%를 공공에 기부해 공원 등으로 활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하지만 박 시장 측은 주민들이 통합개발을 반대할 경우 이를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는 입장이어서 여의도ㆍ압구정 등 반대 여론이 높은 주요 구역의 사업은 중단되거나 개별 재건축ㆍ재개발사업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압구정ㆍ여의도ㆍ이촌은 개별 재건축 전환 가능성 높아=한강변 전략정비구역사업이 표류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과도한 기부채납 비율 때문이다. 재건축ㆍ재개발사업을 위해 적게는 25%에서 많게는 40% 가까운 땅을 기부채납할 경우 그만큼 주민 부담이 늘어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용적률을 높이고 최고 50층까지 아파트를 지을 수 있기는 하지만 주민들로서는 내놓아야 할 대가가 너무 크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여의도구역 내 11개 단지 아파트 소유주들은 "40%에 가까운 과도한 기부채납 비율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초고층 개발에 대한 서울시의 구상 역시 비현실적"이라며 사업 방안에 강력하게 반대하고 있다. 이들은 '여소 연합'이라는 조직을 만들어 주민 약 60%의 동의를 받아 철회 의사를 서울시와 서울시의회 등에 전달하기도 했다. 지난 7월 '재건축 가이드라인'이 발표됐던 압구정구역 역시 비슷한 상황이다. 기부채납 비율이 25%가 넘으면서 최고 4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추가 분담금에 주민들이 '부담'을 느끼고 있다. 이촌구역 역시 전체 6개 단지 중 아직 4개 단지가 조합 추진위조차 설립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촌구역 내 E공인의 한 관계자는 "주민들이 재건축에 아직까지 그리 적극적이지 않다"며 "시장이 바뀌었으니 정책 변화를 기다려보자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새로운 갈등 불씨 우려도 제기돼=합정구역과 성수구역의 경우 사정이 조금 다르다. 합정전략정비구역은 오세훈 전 시장이 제시한 '당인리 발전소 이전'등의 내용을 담은 서울시 원안과 올 초 제시한 수정안이 달라 찬반 입장을 가진 주민들의 의견이 극명하게 갈리고 있다. 인근 A공인의 한 관계자는 "재개발 기대감에 지분 투자를 했던 외지인들은 지분 가격 하락으로 큰 손실을 입어 어찌됐든 한강변 초고층 개발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라며 "하지만 수익성이 낮다 보니 반대의 목소리도 만만찮다"고 말했다. 상대적으로 초고층 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큰 성수구역의 경우 사업이 예정대로 진행돼야 한다는 분위기가 팽배하다. 현재 구역 내 대부분 조합이 조합 설립에 속도를 내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성수동 H공인의 한 관계자는 "시장이 바뀌었다고 주민들이 크게 동요하고 있지 않다"며 "기부체납이나 강변북로 지하화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있지만 무산보다는 원안대로 진행되는 것을 원하는 것이 지역 분위기"라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