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3년 만에 상황은 완전히 달라졌다. 미국 디트로이트의 현지 언론 디트로이트뉴스는 4일(현지시간)자 보도에서 변화된 GM 노조관계를 집중 조명했다. 애커슨 CEO는 "노사는 이제 건설적인 비즈니스 파트너십 관계"라며 "노조는 더 이상 문제의 일부가 아니라 '솔루션'의 일부"라고 노조를 치켜세웠다. 노사의 두 수장은 매달 한두 번씩 식사를 하며 크고 작은 노사문제를 논의할 정도로 가까워졌다.
첨예하게 대립하던 노사관계가 3년 만에 급진전한 데는 자동차 노조의 태도 변화가 크게 작용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 자동차 빅3 중 GM과 크라이슬러가 법정관리에 들어가고 미 자동차 산업의 메카인 디트로이트시가 파산 절차를 밟는 등 미국 자동차 산업의 붕괴를 목도한 킹 위원장은 강성노조를 고집하는 대신 달라진 자동산 산업 환경에 맞게 유연한 자세를 보였다.
GMㆍ포드 등 미국의 주요 자동차 회사들과 노사 협상의 노조 측 대표를 맡고 있는 킹 위원장은 디트로이트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회사가 사업을 키우고 수익을 더 낼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바로 노조원을 돕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글로벌 경제에서 회사가 처한 경쟁압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글로벌 경쟁 환경에서 노사 간 대립은 오히려 노조원들의 이익을 해치는 일"이라고 말했다.
킹 위원장은 지난 2011년 GMㆍ포드의 노사협상에서 생산성 향상과 경쟁력 회복을 위한 노사 협약을 받아들인 바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