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 신국제공항'유치를 위한 영남지역 지자체들의 경쟁이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부산 가덕도냐 경남 밀양이냐를 놓고 부산과 대구ㆍ경북, 경남, 울산이 사활을 건 싸움을 벌이고 있다. 국토해양부는 지난 9일 참고자료를 통해 "동남권 신공항 재검토 움직임에 대해서는 아는 바 없으며 입지 평가는 당초 계획대로 오는 3월말까지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조만간 입지 선정과 관련한 공청회를 열 예정이어서 신공항 문제가 급물살을 탈 가능성도 높다. 이에 따라 해당 지역마다 대규모 세몰이와 홍보전을 펼치는 등 유치열기가 뜨겁다. 현재 부산시 곳곳에는 '신공항은 가덕도', '신어산 추락사고 잊었나. 첩첩산중에 공항이 웬 말인가'라고 쓴 플래카드 2,000여장이 내걸려 있다. 부산 시민단체인 '바른공항건설시민연대'는 최근 성명서를 내고 "청와대와 정부는 3월말까지 국가 백년대계를 바라보고 국가경쟁력 차원에서 동남권 신공항 입지를 결정하라"며 "그렇지 않을 경우 동남권 시ㆍ도민의 강력한 규탄과 저항에 직면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부산시도 "동남권에 공항이 없기 때문에 신공항을 건설하려는 것이 아니다"라며 "국가 백년대계를 위해선 24시간 안전한 운항이 가능한 국제관문 공항이 필요하고 그 입지는 가덕도 해안이 최선의 대안"이라는 입장을 발표했다. 부산시는 동남권 신공항의 장점으로 부산이 10년 전부터 추진해 온데다 소음 민원이 없고 비행항로에 장애물이 없어 24시간 운영이 가능하다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특히 부산신항이 있어 바다와 하늘을 잇는 물류거점으로도 발전시킬 수 있다는 것. 게다가 부산을 찾는 연간 222만명의 외국인 접근성을 고려해 볼 때 동남권 신공항 최적지는 가덕도라는 설명이다. 공사비 또한 국토해양부 국토연구원의 용역결과에 따라 가덕도가 9조8,000억원, 밀양이 10조3,000억원으로 가덕도가 5,000억원 절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바다 매립 부문에 있어서도 부산신항을 건설하면서 해양 매립 기술을 축적한데다 가덕도 연약 지반이 얕아 공사도 수월하다고 밝혔다. 가장 논란이 되고 있는 접근성에 있어서도 첨단 교통수단으로 얼마든지 보완 가능하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김해국제공항이 10년 뒤 포화상태에 이르고 소음과 안전 문제가 크기 때문에 국가백년 대계 차원에서 24시간 운영 가능하고 안전한 동남권 신공항 건설이 필요하다"며 "적지는 가덕도뿐"이라고 말했다. 대구·경북·울산·경남지역 단체 등으로 구성된'영남권 신공항밀양유치 범시도민결사추진위원회'도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추진위는 지난 9일 경남도청을 방문해 김두관 지사와 면담을 하고 4개 시·도 단체장들과 연대해 밀양에 신공항이 유치될 수 있도록 적극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당시 김 지사는"재검토 보도에 대해 청와대가 전면 부인하고 나섰지만, 그 같은 기류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2005년부터 지금까지 지역 간 소모적인 유치경쟁으로 인해 너무 많은 에너지를 낭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남도와 경북도ㆍ대구시ㆍ울산시는 밀양이 영남권 주요 도시에서 1시간 이내 접근할 수 있는 사통팔달의 교통망이 갖춰져 있어 이용자들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점을 적극 내세우고 있다. 특히 내륙에 공항을 건설하기 때문에 바다를 메워야 하는 가덕도에 비해 공사비가 저렴하고 연계 교통망이 잘 구축돼 있어 추가적인 SOC 투자가 필요하지 않은 것도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