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한국증권학회에 따르면 정균화 고려대학교 교수는 2000~2011년 사이 국내 주식시장에서 발생한 주식병합 사례 52건의 수익률 변화 추이를 분석했다.
해당 기업들은 유상증자나 무상감자를 병행한 5개사를 제외하면 모두 지나치게 많은 유통주식 수를 줄이고, 저가주란 인식을 탈피하려는 목적을 내세웠다.
업종지수 대비 초과수익률을 살펴본 결과 이러한 시도는 최소한 초반에는 어느 정도 성공적으로 보였다.
정 교수는 “실증분석 결과 이사회의 주식병합 결의일에 평균 2%의 초과수익률이 발생했고, 이후 일주일간 평균누적초과수익률도 2.9%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또 주식병합 후 신규상장 첫날의 초과수익률도 평균 5%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이튿날부터는 주가가 꾸준히 떨어지기 시작해 통상 1주일 이내에 첫날 상승분을 모두 반납했다. 한달 뒤에는 초과수익률이 평균 -14%까지 떨어졌다.
정 교수는 “미래 수익전망이 불투명해 주식병합 이외의 수단으로는 주가를 상승시킬 능력이 없는 기업이 주식병합을 실시한다는 부정적 정보효과가 우리나라에서도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그는 “변경상장 첫날 양(+)의 초과수익률을 보인 것은 해당 기업이 기업 이미지 제고를 목적으로 주가를 적극 관리한 때문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실제 주식병합을 한 기업들은 대체로 병합 전 수익성이 낮았고, 주식병합 이후에도 수익성과 성장성이 전반적으로 나빠졌다는 것이 정 교수의 설명이다.
정 교수는 “아울러 주식병합 후 거래량은 유의적 변화가 없었으나 주가 변동성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나 과잉유동성을 해결해 주가를 안정시킨다는 공식적 목적도 달성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조사대상이 된 52개 기업 중 39개사(75.0%)는 코스닥 기업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한국증권학회가 발간하는 한국증권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디지털미디어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