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말에 한 차례 개최되는 중앙경제공작회의는 정치국 상무위원을 포함한 당 최고지도부는 물론 중앙과 지방 당정 주요 지도자, 주요 국영기업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한 가운데 이듬해 경제운용 방침을 최종적으로 확정 짓는 회의다. 특히 이번 회의는 앞으로 10년간 중국을 통치할 시진핑 총서기의 구체적인 경제 청사진이 처음 발표된다는 점에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적극적 재정정책, 신중한 통화정책'이라는 기존의 거시 틀을 그대로 유지하되 세계경기 침체에 따른 외부수요 약화에 대비해 재정적자 폭을 확대함으로써 내수부양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중국 공산당은 지난 4일 시 총서기 주재로 연 정치국 회의에서 '안정 속에서 발전을 추진한다'는 뜻의 '온중구진(穩中求進)' 방침을 재확인하면서도 경제의 질적 발전을 추구하기로 했다.
이번 회의 준비과정에서 정책자문을 했던 한 전문가는 "지도부가 중국의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이후 지난 10년간은 수출호조 등 외부의존형 성장이 가능했던 시기지만 갈수록 외부 경제환경이 불확실해지는 만큼 자체 성장동력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했다"며 "이에 따라 내수주도 성장 모델 전환과 함께 경제의 질적 발전에 초점을 맞추는 정책들이 내년에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속 가능한 안정적 성장을 위해서는 기존의 노동력ㆍ자원 투입 일변도의 경제에서 벗어나 효율과 생산성이 중시되는 질적 성장으로의 전환이 가속화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중국은 오는 2015년을 전후해 노동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기존의 풍부한 노동력에 따른 인구 보너스 효과가 사라질 것으로 예측된다.
무엇보다 내수주도 성장 모델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도시화' 정책이 가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도시화가 가속될 경우 자연스레 인프라 투자가 확대되는 것은 물론 농촌인구의 도시화를 통해 서민층의 소비력을 늘린다는 전략이다. 중국 정부는 지난달 18차 당대회에서 2020년까지 1인당 국민소득을 두 배로 늘리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내년 성장률 목표를 7.5%로 제시한 것은 안정성장과 구조조정을 통한 성장방식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는 12차 5개년계획(2011~2015)의 연속선상에 있다고 분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