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10억원 이상 고가 아파트 숫자가 8ㆍ31대책 당시의 2배로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 실패가 지금의 결과를 초래했다는 비난을 면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6일 부동산정보업체 스피드뱅크에 따르면 11월 현재 서울 지역에서 평균 매매가가 10억원 이상인 아파트는 총 10만9,166가구로 지난해 8ㆍ31대책 발표 당시 5만845가구의 2.1배에 달했다. 8ㆍ31대책이 발표된 후 지난해 말 10억원 이상 아파트가 5만3,394가구로 정부 정책이 효과를 발휘하는 듯했으나 올 들어 약발이 다하며 집값이 다시 급등세로 돌아섰다. 정부는 올 초 집값이 급등하자 서둘러 3ㆍ30대책을 내놓았으나 당시 7만9,862가구였던 고가 아파트의 수는 현재 10만9,168가구까지 늘어났다. 구별로는 강남구가 4만2,244가구로 전체의 39%를 차지했고 서초구 2만2,74가구, 송파구 1만9,465가구, 양천구 1만96가구, 용산구 5,603가구, 영등포구 3,342가구, 강동구 2,780가구, 광진구 1,753가구, 강서구 1,248가구 등의 순이었다. 특히 강서구는 8ㆍ31대책 당시 10억원 이상 아파트가 26가구에 불과했으나 현재 1,248가구로 1년 2개월 만에 무려 48배로 급증했다. 강서구의 집값은 9호선 개통을 앞두고 매수문의가 꾸준히 늘면서 크게 오른 것으로 분석된다. 다음으로는 양천구(2,639가구)와 용산구(2,189가구)가 각각 3.8배, 2.5배씩 오르며 평균 이상의 상승폭을 보였다. 평형별로는 30평형대가 전체의 35.3%인 3만8,530가구로 가장 많았고 40평형대가 32.3%(3만5,293가구), 50평형대 20.4%(2만2,234가구), 60평형 이상 8.6%(9,422가구), 20평형대 이하 3.4%(3,687가구) 순이었다. 박원갑 스피드뱅크 부사장은 “10억원짜리 아파트는 평범한 샐러리맨이라면 평생 벌어도 살기 힘든 수준이 됐다”며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제대로 시장에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면서 고가 아파트를 양산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에서 평균 매매가가 가장 비싼 아파트는 강남구 삼성동 아이파크 73평형으로 41억5,000만원이었으며 2위는 강남구 압구정동 구현대7차 80평형으로 37억5,000만원, 3위는 용산구 이촌동 한강자이 76평형으로 34억원, 4위는 강남구 도곡동 렉슬68평형으로 33억5,000만원이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