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재산업이 21세기 새로운 친환경 녹색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기후변화협약이 목재 이용을 탄소계정에 포함시키면서 각국이 목재산업 활성화 방안 마련과 함께 목재이용 확대를 위한 정책을 잇따라 마련하고 있다.
한국 또한 1970년대 이후 40여년 간 성공적으로 조림해온 숲이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장으로써 뿐만 아니라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중요한 자원으로 떠오르고 있다.
◇2017년 목재산업 34조원, 자급률 21%로 확대=제17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수확된 목제품이 탄소계정에 포함시켰다. 탄소계정이란 온실가스(이산화탄소) 배출 권리를 사고 팔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배출권을 거래하려는 자가 배출권등록부에 등록하도록 의무화한 제도.
목제품 개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산림녹화 성공 국가임에도 목재를 활용한 산업이 미약하고 일자리 또한 풍부하지 못한 상황이다. 실제 국내 전체 목제품에 사용되는 국산 원목은 지난 2011년 말 현재 15.2% 수준에 머물고 있다.
산림청은 목재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목재시장 육성에 더욱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현재 28조원 규모인 목재산업 연간 생산액 규모를 오는 2017년까지 34조원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를 통해 목재 자급률을 21%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국산재의 안정적 공급 확대(국산재 시대 진입) ▦목재산업의 경쟁력 제고(목재산업 시장 재도약) ▦목제품 이용 활성화(목재소비량 확대) ▦목재산업 진흥 기반구축(선진화된 산림인프라) 등 4대 부문에 걸쳐 공공분야 목제품 우선구매 제도 도입, 목재이용 활성화 '아이러브 우드(I LOVE WOOD)' 캠페인 추진 등 다각적인 사업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녹색경제 핵심산업 육성= 산림청은 목재산업이 기후 변화로 인한 '환경위기'와 고유가로 인한 '자원위기' 시대에 적합한 산업임에도 불구하고 목재육성을 위한 정책이 미흡하다고 보고 목재산업 육성을 위한 체계적 방안을 실현하기 위한 법적 기반으로 지난해 5월 '목재의 지속 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률'을 제정ㆍ공표했고 오는 5월 시행을 앞두고 있다.
산림청은 이 법안을 기반으로 목재이용 증진 및 국산재의 지속적인 공급확대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국가 신성장동력 산업으로까지 육성해 나갈 방침이다. 이를 통해 친환경적 성장을 주도하는 한편 좋은 일자리 창출에 적극 나서겠다는 전략이다.
◇목재에너지림 확대와 권역별 기반 조성= 산림청은 목재 펠릿의 안정적 원료공급을 위해 목재 에너지림 조성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새만금유역과 4대강 유역 등 유휴 토지에 단벌기 목재에너지림 5,000㏊를 조성할 계획이다.
우선 새만금유역 1,000㏊에 목재 에너지림을 조성하는 사업은 관계부처 협의를 마무리지어 놓고 있다. 지난해 5㏊를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추진한 데 이어 올해에는 사업량을 50㏊로 확대할 방침이다. 산림청은 5,000㏊에 목재 에너지림을 식재할 경우 150만톤 정도의 목재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산림청은 이와 함께 권역별 목재산업 기반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수도권(여주)에 낙엽송을 이용한 건축용재 및 목재펠릿 생산단지를, 영동권(동해)에 소나무를 이용한 문화재ㆍ사찰용 고급용재 생산단지를 각각 조성완료해 놓고 있고 호남권(삼나무ㆍ편백 등을 이용한 고급 건축용재 생산단지), 중부권(리기다소나무 활용한 산업용재 공급기지), 영남권(금강소나무를 이용한 전통 한옥 용재 생산단지)에도 목재산업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김남균 산림청 차장은 "저탄소 녹색성장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친환경소재인 목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며 "목재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함께 기후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해나갈 수 있도록 목재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