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영 경기개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난 14일 수도권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싱크홀 발생에 대한 인식조사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싱크홀에 대한 불안감을 묻는 말에 대한 응답자의 53.5%가 ‘매우 불안’, 44.7%가 ‘불안’하다고 답해 사실상 응답자의 95.2%가 불안감을 보였다.
당신도 싱크홀 발생 피해자가 될 수 있다는 것에 대한 물음에도 ‘그렇다’(55.1%)와 ‘매우 그렇다’(24.5%)를 합친 비율이 79.6%에 달했다.
싱크홀 발생 시 가장 위험한 상황과 장소를 묻는 말에는 ‘번화가’(39.8%)와 ‘출·퇴근 시’(37.3%)의 응답 비율이 높았다.
서울 주민들은 번화가(43.1%)를 우선 꼽았지만, 경기(38.5%)와 인천(41.6%) 주민들은 출·퇴근 때를 우선으로 꼽았다.
앞으로 싱크홀 증가 여부에 대해서는 ‘매우 증가’(34.3%)와 ‘증가’(63.2%)가 97.5%를 차지했다. 최근 우리 사회에 위협이 되는 재난으로는 ‘홍수 및 태풍’(39.6%) 다음으로 ‘싱크홀’(29.9%)을 꼽았다. 이는 ‘폭염과 가뭄’(15.5%), ‘황사’(12.8%), ‘산사태’(2.2%)보다도 높은 수치다.
싱크홀은 지하수가 암석을 녹이거나 지하수 흐름의 급격한 변화로 발생하며, 과다한 지하수 이용, 개발사업으로 인한 지하수 흐름 교란, 상하수도관 누수 등도 주된 원인이다. 우리나라는 싱크홀 발생 가능성이 낮은 지질(석회암 지역 협소)로 비교적 안정적이나, 매년 지하수 이용시설 5.1%, 지하수 이용량 2.6% 증가에 따른 지하수위 저하가 싱크홀 발생 가능성을 높여 왔다.
이기영 선임연구위원은 “싱크홀 위험이 큰 지역은 관 주도만으로 넓은 지역을 정밀히 조사하기 어려워서 시민들로 하여금 기초벽체에 균열이 새로 발생하거나 창문 혹은 방문이 작동되지 않는 등 싱크홀 징후 발생 시 신고토록 해야 한다”고 민과 관의 공조를 강조했다.
그는 또 “싱크홀에 대응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와 지침마련이 시급하다”면서 싱크홀 위험지도를 작성해 도시계획부터 사업승인 및 관리에 활용할 수 있는 조례 제정 등을 주문하는 한편 지하수위 저하 및 개발사업 추진 시 급격한 지하수위 변화가 싱크홀 발생의 원인인 만큼 싱크홀 방지를 포함한 융합적 물 관리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