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20년까지 국제 해양관광의 거점으로 거듭나기 위한 부산 북항 재개발 프로젝트가 삐걱거리고 있다. 참여정부 때 입안된 이 프로젝트는 개발 모델을 둘러싼 논란으로 지난해 10월 말 실시계획이 확정돼 지난해 말 착공에 나설 예정이었지만 항운노조 재배치ㆍ보상문제로 아직 구체적 일정조차 잡지 못하고 있다. 5일 부산항만공사와 항운노조에 따르면 양측은 유라시아 허브포트ㆍ관문을 겨냥해 부산항 신항의 대규모 개발과 더불어 추진해온 북항의 국제해양ㆍ비지니스ㆍ관광항 조기 재개발 문제와 관련, 지난해 11월부터 연말까지 9차례나 노조원 등에 대한 보상안을 놓고 협상을 벌였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협상을 올해로 일단 미뤘다. 두 기관은 북항 재개발에 따른 보상안 용역을 각각 발주해 그 결과를 토대로 협상을 벌이고 있는데 아직 뚜렷한 합의점을 찾지 못해 논란만 거듭하고 있는 상태다. 가장 큰 쟁점은 보상대상과 보상인력 문제. 부산항만공사는 보상대상을 공용부두에 한정하고 있으나 항운노조는 상용화 부두도 포함시킬 것을 주장해 팽팽히 맞서고 있다. 이에 따라 보상인력 규모도 차이가 크다. 부산항만공사는 744명으로 잡은 데 비해 항운노조는 2배에 가까운 1,274명에 이른다. 항운노조 측은 “불과 1년 전에 상용화가 이뤄졌는데 바로 나몰라라 하면 되겠느냐”며 “부두운영사들도 부산항만공사에 일부 책임이 있다는 점을 인정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쟁점은 개별 작업권 보상 문제로 항만공사는 평균임금의 12개월분 반영을 주장하고 있으나 항운노조는 30개월분을 반영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보상 이외에 일자리 확보 문제도 쟁점이다. 항운노조 측은 북항 재개발로 인한 북항 항만 근로자의 재배치를 위해 부산항 신항에 대한 인력공급을 늘려줄 것을 요구하고 있으나 부산신항 운영사들은 자동화 등으로 인력 감축이 불가피해 항운노조의 요구를 모두 수용하기는 어려운 입장이다. 보다 심각한 문제는 부산항만공사가 북항 재개발 착공식과 보상 문제를 병행해 처리하려는 데 반해 항운노조 측은 ‘선보상 후착공’으로 맞서고 있다. 부산항만공사의 한 관계자는 “부두 상용화에 2년 이상 걸렸는데 보상안을 일괄 타결하기 위해서는 이보다 더 많은 기간이 소요될 수도 있다”며 “착공 이후 보상안 협상을 쟁점별로 진행해도 무리는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양측은 이번주 중에 다시 협상을 벌인다는 계획이지만 보상 협상이 타결되기까지는 상당한 기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서 올 초로 미뤄진 착공시점도 더 지연되지 않을까 우려된다. 한편 북항 재개발사업은 부산항 북항 1~4부두와 중앙부두 151만1,000㎡에 총사업비 8조5,190억여원을 투입, 2020년까지 워터프론트 조성 등 국제해양관광의 거점으로 개발하는 부산항 개항 이래 가장 큰 대형프로젝트다. 특히 KTX 연결, 항만배후 철도청 부지개발 등과 연계돼 부산이 환골탈태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