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총리는 성 전 회장의 폭로 대상이 된 데 대해 언론에 공개된 성 전 회장의 녹취록을 거론하면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대권과 저의 그런 문제가 결부돼 고인(성 전 회장)을 사정했다는 심한 오해가 저간에 깔린 것 같다"고 했다. 성 전 회장이 오해를 바탕으로 악의적 의혹 제기를 했다는 암시다. 20개월간 23차례 만난 것으로 기록된 성 전 회장의 다이어리 내용에 대해서도 "단독으로 만난 것은 4차례뿐"이라고 대응했다. 그는 도종환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질의 중 의원실에서 보관하고 있던 자신의 당시 일정 기록을 공개했다. 그는 "23회 중 (실제로 만남이) 일치하는 것은 11번뿐"이라고 밝혔다.
야당 의원들은 언론 보도 내용을 토대로 이 총리의 '거짓 해명' 비판에 집중했다. 이 총리의 운전기사였던 A씨가 2013년 4월4일 이 총리와 성 전 회장이 독대했다고 진술한 보도가 나온 데 대해 유성엽 새정치연합 의원은 "불리하면 기억이 안난다고 하고 잡아떼거나 유리한 것만 인정한다"고 비판했다. 같은 당 유대운 의원도 "증거가 될 만한 내용이 나오면 말을 자꾸 바꾼다"고 지적했다. 이 총리는 "오해 소지가 있을지 모르지만 큰 틀에서 거짓말한 것은 없다"고 말했다.
박근혜 대통령의 해외 순방으로 국무총리 통할을 받게 된 법무부 장관에 대한 우려도 제기됐다. 검찰 수사 대상인 이 총리가 검찰 지휘권을 갖고 있는 법무부 장관의 보고를 받는 것이 외압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이다. 유 의원은 황교안 법무부 장관에게 "엄중 수사를 위해 '통할 대상에서 빼달라'고 건의하라"고 했다. 황 장관은 "총리는 수사를 통할할 수 없다"며 "주어진 책임하에서 검찰을 지휘해 공정하게 하겠다"고 거부했다.
여당 의원들은 세월호 후속 조치가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를 집중 점검하는 데 시간을 할애했다. 성 전 회장에 대한 언급 자체를 꺼렸다.
박인숙 새누리당 의원은 "억울한 부분이 있으면 얘기해달라"며 해명 기회를 줬고 이 총리는 "실체적 진실을 빠른 시간 내 검찰이 수사를 통해 밝혀서 국민적 의혹 해소하고 국정이 빨리 정상이 됐으면 한다"고 답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