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비대위원은 25일 열린 '노무현 대통령 기념 학술심포지엄' 기조연설에서 "당의 존립을 위태롭게 하는 취약한 당원 기반을 늘려야 하는 동시에 직접민주주의를 지향하는 참여민주정당으로 가야 한다"며 "개방된 시민참여정당만이 '생활정당'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지금의 정당은 '출마자들의 카르텔 정당' '대중 기반이 없는 불임정당' '정치자영업자들의 담합정당'"이라며 "지금이 마지막 기회이며 변화하지 않으면 집권은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일각에선 문 비대위원이 당의 개혁과 변화의 방향을 제시한 것에 대해 '당권 도전 의사를 드러낸 것'이라고 관측했다.
당권 경쟁주자인 박지원·정세균 의원이 '모바일투표'와 관련, "말을 조심해야 한다"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낸 상황에서 문 비대위원이 이날 '시민참여와 온라인정당'을 강조함에 따라 이들의 신경전은 더욱 증폭될 것으로 예상된다. 박 의원은 "모바일투표는 특정 계파에 유리하다"고 비판한 바 있다. 야권 내에서는 모바일투표를 시행할 경우 고정적인 지지층이 있는 친노무현계는 당권 장악에 유리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 문 비대위원은 "국민을 대변하는 대의기능이 마비되고 기득권과 이익의 담합이 당을 질식시키고 있다"며 "중앙당·지도부가 지나치게 독점하고 있는 의사결정구조, 국회의원 중심의 정당 운영 방식도 민주적 소통과 거리가 멀다"고 꼬집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