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석우 지식경제부 장관은 지난 5일 아랍에미리트(UAE)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원자력보다 태양광이 더 대안 아니냐"는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담당 부처 장관의 대답이라고 폄훼할 수도 있지만 지금으로서는 솔직히 태양광의 한계도 분명하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난 지 11일로 꼬박 1년이 됐다. 지난해 3월11일 오후2시46분 진도 8.8의 강진이 동일본을 강타했다. 후쿠시마 원전도 냉각수 유입이 중단되면서 잇달아 폭발했다. 사고 1년이 지난 지금도 후쿠시마 현의 절반 정도가 방사성 물질에 신음하고 있다.
이 때문에 국내에서도 원전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많다. 원자력발전소를 모두 철거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온다.
후쿠시마나 체르노빌 사고에서 보듯 원전 사고는 한 번 발생하면 대규모 참사가 빚어진다.
비행기보다 핵발전소 사고 확률이 낮다고 하지만 원전 사고 가능성이 '제로(0)'는 아니다. 남북이 대치 중이고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테러와 이상기후 등을 감안하면 우리도 원전 사고의 안전지대라고 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당분간' 우리에게 원전은 필수다. 아직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의 효율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이다. 1kWh를 발전하는 데 원자력은 39원, 태양광은 330원이 든다. 100만kWh 정도의 공급 규모를 갖추려면 태양광은 여의도 면적의 열 배인 30㎢의 부지가 있어야 한다. 원자력은 0.3㎢만 있으면 된다. 태양광 같은 무공해 천연에너지원이 개발되면 원자력은 자연스레 도태된다.
석탄ㆍ석유로 발전하다가 태양광으로 넘어가면 된다고 주장할 수 있지만 우리의 석유ㆍ가스 자주 개발률은 10.8%에 불과하다. 프랑스(105%), 이탈리아(51%) 등과 큰 차이가 난다. 최근 미국은 30여년 만에 원전 건설을 재개하기도 했다. 원전은 신재생에너지 시대로 가기 위한 '다리'다.
현실이 이렇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들에게 원전은 '혐오의 대상'이다. 일본뿐만 아니라 우리 국민의 상당수도 후쿠시마 사고의 트라우마에 빠졌다. 그러나 우리 정부는 여전히 원전의 중요성만을 지나치게 외치고 있는 듯한 인상을 지우기 어렵다. 후쿠시마 사고 1주년이 된 지금, 국민은 무조건적인 '원전 예찬론'이 아니라 '왜 안전한지'를 듣고 싶어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