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전남 영광 법성포, 천일염·해풍으로 빚은 굴비 '천상의 맛'

알 꽉 찬 봄철 조기로 만들어 맛 일품… 바싹 말려 고추장에 재어 먹어도 별미

백수해안도로서 드라이브·일몰 만끽… 해수온천 몸 담그면 신선이 따로없네~

건조되고 있는 영광 법성포의 굴비들. 고려 인종 때 왕위를 넘보다가 영광으로 귀양 온 이자겸이 말린 참조기를 인종에게 진상하면서 생선의 이름으로 자신의 뜻을 굽히지 않겠다는 '굴비(屈非)'라 지어 보냈다는 일화가 전해온다.

굴비의 집산지인 법성포의 전경.

전남 영광군 법성포는 서해가 육지 안쪽까지 깊숙이 들어와 있는 천혜의 항구다. 연중 어느 때든 고기잡이배들이 북적이는 곳이지만 영광을 대표하는 어종인 조기잡이가 한창인 봄철이면 유난히 활기가 넘친다. 서해 어디에서나 잡을 수 있는 조기가 왜 영광을 대표하는 생선이 됐을까. 영광 앞바다인 칠산어장을 알을 밴 조기떼가 이맘때 지나 조기 맛이 가장 좋기 때문이다. 조기는 예로부터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사랑 받아온 생선이다. 크기가 큰 조기는 잘 손질해 제사상에 올리고 조금 작지만 싱싱한 조기는 그대로 탕을 끓이거나 잘 구워 밥상에 올린다. 너무 작아 먹을 수 없는 조기와 손질한 내장은 젓갈을 담아 사용하니 버릴 것이 없다.

싱싱한 조기도 많은 사랑을 받지만 그보다 더 큰 사랑을 받는 것은 조기를 살짝 염장해 말린 굴비다. 영광의 또 다른 특산품인 소금과 법성포의 해풍이 더해져 만들어지는 굴비는 그 이름에도 재미있는 사연이 담겨 있다.

고려 인종 때 왕위를 넘보다가 영광으로 귀양 온 이자겸이 말린 참조기를 인종에게 진상하면서 생선의 이름을 자신의 뜻을 굽히지 않겠다는 '굴비(屈非)'라 지어 보냈다는 일화가 전해온다. 이후 영광의 옛 이름 '정주'를 붙인 '정주굴비'가 말린 참조기의 이름이 됐다고 한다.

영광 사람들은 당시 이자겸이 인종에게 보낸 굴비는 오가재비 굴비였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오가재비 굴비는 곡우 즈음에 잡는 오사리 조기로 만든다.

법성포 굴비가 유명한 것은 법성포로 불어오는 해풍과 쌀쌀한 날씨가 굴비를 만들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굴비의 소비량이 많아진 지금은 봄철 조기로만 굴비로 만들 수 없어 연중 잡히는 조기를 모두 수매해 사용한다. 수매한 조기는 즉시 냉동저장한 후 하루 작업량만큼 해동해 굴비로 만들고 있다.

조기가 굴비로 변신하는 과정에는 많은 시간과 사람의 손길을 거친다. 제일 먼저 필요한 것은 굴비의 맛을 좌우하는 소금이다. 법성포에서는 영광에서 생산된 천일염을 사용한다. 여기에 조기의 비린 맛을 잡아줄 수 있는 저마다의 비법이 더해져 상품으로 완성된다. 영광의 굴비 업체 '해다올'의 박윤수 대표는 "인진쑥가루를 곱게 만들어 천일염과 섞어 사용하는 것이 해다올의 비법"이라고 말한다. 쑥이 굴비의 비린내를 잡아주고 맛을 돋워주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중요한 또 하나의 조건은 온도다. 작업장 내 온도를 연중 일정하게 함으로써 동일한 맛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해동된 조기에 뿌려진 소금이 생선 안으로 배어들어가는 속도를 일정하게 하는 역할도 한다. 조기의 크기에 따라 염장시간을 6~24시간으로 조절하는 것도 맛을 일정하게 하는 비결이다. 염장이 잘된 조기는 두름으로 엮은 후 맑은 물에 씻어 더이상 소금이 생선 안으로 배어들지 않게 한다. 이후 잘 말려주면 굴비가 완성된다.

요즘 소비자들은 예전처럼 완전히 말린 굴비보다 촉촉함이 살아 있는 굴비를 더 선호한다. 그렇기 때문에 요즘은 어디서든 완전히 건조된 전통굴비가 아닌 염장굴비를 더 쉽게 만날 수 있다. 하지만 옛 맛을 그리워하는 사람들은 바싹 말린 전통굴비를 쌀뜨물에 담갔다가 쪄내는 굴비찜을 영광굴비 최고의 맛으로 손꼽는다.

더운 여름에는 밥을 물에 말아 굴비찜과 함께 먹으면 달아났던 입맛도 돌아온다. 말린 굴비를 찢어 고추장에 재었다 먹는 고추장 굴비도 일품이다.

영광굴비를 맛본 후에는 영광의 문화유산을 둘러볼 차례다. 제일 먼저 찾아갈 곳은 법성포라는 지명이 생겨난 백제불교 최초 도래지다. 이곳은 인도승려 마라난타가 백제에 불교를 전하기 위해 찾아와 첫발을 내디딘 곳이다. 법성포의 법(法)은 불교를, 성(聖)은 성인인 마라난타를 뜻하는데 부용루·탑원·간다라유물전시관 등 볼거리가 많다.

법성포에서 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백수해안도로는 영광군 최고의 드라이브 코스다. 이 길에는 영광해수온천랜드와 노을전시관이 자리를 잡고 있다. 영광해수온천랜드는 지하 600m에서 솟아나는 27.1도의 염화나트륨 광천수를 사용한다. 온천을 즐기며 바다를 바라보는 재미는 신선놀음에 비할 바 아니다.

노을전시관은 백수해안도로의 아름다운 일몰을 감상할 수 있는 장소다. 백수해안도로에서 촬영한 아름다운 노을 사진과 노을을 주제로 쓴 책을 전시하고 있다.

해안도로를 벗어나 군남면 동간리로 가면 영광 연안김씨 종택이 자리하고 있다. 조선 후기 영광 양반들의 생활을 살필 수 있는 이 집은 대문 위에 세워진 삼효문이 색다르다. 삼효문은 고종 임금의 명으로 지어졌다고 한다. 누각 위로 올라가면 세분의 효성을 기리는 편액을 볼 수 있다.











여행수첩

◇여행코스

▲당일

명소탐방코스: 백제불교최초도래지→법성포굴비정식(점심)→백수해안도로→해수온천랜드→노을전시관→ 연안김씨종택

문화유적답사: 불갑사→내산서원→연안김씨종택→원불교영산성지→법성포

▲1박2일

첫째날: 백수해안도로→해수온천랜드→법성포굴비정식(점심)→백제불교최초도래지→영광연안김씨종택(숙박)

둘째날: 불갑사수변공원→불갑사(점심)→내산서원

◇관련 웹사이트 주소

-영광군청 http://www.yeonggwang.go.kr/tour/

-해다올 www.haedaol.com



-영광 연안김씨 종택 http://cafe.daum.net/kbmetoo

◇ 문의전화

-영광군청 기획예산실 홍보계 (061)350-5742

-해다올 (061)356-2019

-영광연안김씨종택 (070)4208-5279

-영광해수온천랜드 (061)353-9988

-노을전시관 (061)350-5600

-백제불교최초도래지 (061)350-5999

◇가는 길

서해안고속도로 영광IC → 함평·영광방면 23번국도로 좌회전 진입 → 단주로터리에서 우회전 → 22번국도와 만나는 신평교차로에서 공음·법성포방향으로 우회전 진입 → 약 9㎞ 직진 → 법성포

◇ 숙박정보

-영광컨트리클럽: 백수읍 구수리 (061)350-2000(굿스테이)

-영광연안김씨종택: 군남면 동간길2길 (070)4208-5279, http://cafe.daum.net/kbmetoo

-팔레스모텔: 영광읍 신하리 (061)351-5300

◇맛집

-동원정: 법성면 법성리, 굴비한정식 (061)356-3323

-007식당: 법성면 법성리, 굴비한정식 (061)356-2216

-명가어찬: 법성면 법성리, 굴비한정식 (061)356-1313

-해촌: 영광읍 단주리, 백반 (061)353-8897

-할매집: 불갑면 모악리, 보리밥정식 (061)352-7844



@naver.com,

사진제공=한국관광공사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