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은 박 후보자에 대해 “대법관에게 필요한 자질을 모두 갖췄을 뿐 아니라 검사, 변호사, 국책연구기관장을 거치면서 다양한 경험과 넓은 안목을 축적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법원이 우리 사회의 다양한 가치를 아우르며 최고 법원으로서 본연의 헌법적 사명을 다하고 국민이 신뢰하는 사법부를 만들어 가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부연했다.
경기 시흥 출신의 박 후보자는 경기고와 서울대 법대를 졸업하고 1984년 서울지검 검사로 임관해 대검 범죄정보관리과장, 사법연수원 교수, 대검 공판송무부장, 서울북부지검장 등을 지낸 뒤 2009년 퇴임했다.
이후 박 후보자는 법무법인 충정 등에서 변호사로 활동했다. 2012년 사학분쟁조정위원회 위원을 맡았고 작년부터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원장으로 일했다.
박 후보자는 성격이 온화하지만 ,원칙을 고수하는 단호한 면이 있다고 알려졌다.
앞서 대법원장 자문기구인 대법관 후보추천위원회(위원장 김종인 가천대 석좌교수)는 지난 14일 회의를 열어 박 후보자를 포함한 3명의 후보를 선정해 양 대법원장에게 추천했다.
박 대통령이 제청을 받아들여 박 후보자에 대한 임명 동의를 국회에 요청하면 국회는 청문회를 거쳐 동의 투표를 한다. 국회에서 가결되면 박 대통령이 박 후보자를 새 대법관으로 임명한다.
임명 제청 이후 국회의 임명동의안 처리 등 모든 절차에는 최소 한 달 이상이 걸릴 전망이다.
한편, 임명동의안이 통과될 경우 박 후보자는 2012년 안대희 전 대법관의 퇴임 이후 명맥이 끊긴 검찰 출신 대법관의 명맥을 잇게 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