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정권마다 레임덕을 차단하고 국면을 전화하기 위해 가장 손쉽게 사용하는 카드는 '친정체제 구축'이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경우 정권 중반기인 지난 2010년 12ㆍ31 개각과 2011년 5∙6 개각에서 측근들을 기용함으로써 국정 장악력을 높이려 시도했다. 2011년 6월 단행된 청와대 개편에서도 대선 경선캠프에서 활약했던 김효재 당시 한나라당 의원을 정무수석으로 임명하는 등 측근을 전진 배치했다.
최근 박근혜 대통령의 친정체제 구축 행보가 심상치 않다. 올해 8월 원로 자문그룹인 '7인회' 멤버 김기춘 전 법무장관이 대통령 비서실장으로 기용된 데 이어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새 대표 상임의장에는 홍사덕 전 한나라당 의원이 추대됐다. 10∙30 보궐선거 경기 화성 갑 후보로는 서청원 전 한나라당 대표가 새누리당의 '비밀 의결' 절차를 거쳐 확정되기도 했다. 이른바 '올드보이의 귀환'이다. 여기에 유영익 국사편찬위원장과 이경재 방송통신위원장, 이원종 지역발전위 위원장 등 원조 친박들이 포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박 대통령이 원조 친박들을 불러들이는 것은 진영 전 보건복지부 장관의 항명 파동으로 리더십 위기가 거론되고 있는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이에 더해 집권 7개월 만에 김무성 새누리당 의원과 김문수 경기지사가 대권 도전 의사를 밝히는 등 '조기 레임덕'까지 거론되고 있다. 결국 박 대통령 역시 역대 정권처럼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충성심 강한 인사들을 포진시키는 카드를 꺼내든 셈이다.
과거 이 전 대통령이 친정체제를 강화는 인사를 진행했을 때 언론에서는 '친위부대 인사' '아바타 정치'라고 꼬집으며 비판했다. 2010년 12∙31 개각 당시 정동기 감사원장 후보자가 낙마하면서 오히려 레임덕을 촉발시켰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대통령의 의중을 제대로 파악하고 받드는 측근 인사들 덕에 국정을 강하게 다잡을 수 있을지언정 다른 목소리가 차단됨으로 인해 민심과 동떨어진 국정운영을 할 수도 있게 된다. 현 상황에 대한 해결책으로 처방한 '친정체제 구축'이라는 약이 어느 순간 박 대통령에게 독이 될 수도 있다는 의미다. 결국 원조 친박들을 통해 리더십 위기가 극복될지, 조기 레임덕이 가속화될지 여부는 박 대통령의 손에 달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