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스마트와 스쿨룩스·아이비클럽·엘리트베이직 등 주요 4대 교복 제조업체 등으로 구성된 사단법인 한국교복협회는 서울시 중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학교주관구매 입찰 지연으로 교복업계 종사자의 대량실업 사태가 양산되고 있다"고 밝혔다.
협회에 따르면 전국의 교복 대리점은 보통 매년 4월까지 내년도 신입생의 교복을 각 본사에 주문하며 본사는 6월부터 생산을 시작해 이듬해 2월에 마무리한다. 하지만 학교주관구매제도를 적용할 경우 1개의 업체가 2월 신입생 배정 이후부터 3월 초 입학식까지 약 3주간 학생들의 교복을 생산·납품해야 한다. 8~10개월 전부터 생산에 들어가 납부기한을 맞추는 지금의 실정을 고려할 경우 내년도 입학식에 신입생들이 교복을 입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얘기다.
협회는 입찰이 지연됨에 따라 교복업계 종사자들의 대량실업 사태가 양산될 것이라 주장했다. 교육부는 애초 지난 4월까지 학교주관구매 입찰·계약을 종결하겠다고 밝혔지만 현재까지도 입찰 여부가 불분명해 대부분 생산공장이 휴·폐업 상태에 놓였기 때문이다. 이들은 또 "대리점이 보유한 재고 교복을 판매할 판로가 차단돼 영세 교복업자들이 줄도산 위기에 있으며 입학식 전 교복을 납품하는 것이 힘들어져 신입생들이 사복을 구매해야 하는 등 학부모의 이중부담도 발생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협회는 교육부가 학교주관구매제도의 문제점을 인정하고 안전장치 등을 구축한 뒤 단계적으로 시행할 것을 요청했다.
대리점협력업체 대표인 류기종 사장은 "현재의 교복 생산체제를 무시하고 학교별로 하나의 업체만 선정하겠다는 것은 선정 전까지 아무도 생산을 진행할 수 없게 하는 구조"라며 "특정 학교의 생산업체로 선정된다 하더라도 그 학교에 어떤 체형의 학생이 몇 명이나 입학할지, 남학생과 여학생이 각각 몇 명이나 입학할지 등을 알 수 없어 미리 준비할 수가 없다"고 비판했다. 그는 "교사들도 봉제에 대해 아는 사람이 없는데 어떻게 한 업체를 선정해야 할지 난감해하고 있다"며 "학교주관구매제가 대체 누구를 위한 것인지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내년부터 도입될 예정인 학교주관구매제는 국공립학교의 교복 구매절차를 학교가 주관하는 제도다. 학교가 업체별로 품질 심사를 한 뒤 이를 통과한 업체만을 대상으로 가격경쟁을 해 최저가를 제시한 업체를 학교가 입찰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