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은 이날 정상회담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독일은 이미 통일을 넘어 통합을 달성했다는 점에서 우리에겐 한반도 평화통일의 모델”이라고 밝혔다.
또 “한반도 통일시대를 열기 위해 독일과 사회통합, 경제통합 및 국제협력 등 각 분야별로 다면적 통일 협력 체계를 구축해서 독일의 통일과 통합 경험을 효과적으로 공유하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한-독 통일 자문위원회 내실화 ▲재무당국간 및 경제정책 연구기관 간 협력 네트워크 ▲통일외교정책자문위원회 신설 ▲독일 NGO, 정치재단과의 협력사업 ▲동서독 접경지역 보존 경험 공유 등에 합의했다.
메르켈 총리는 “독일 통일은 정말 행운이자 대박”이라며 “25년 전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모든 사건들이 독일의 1,700만 구동독 주민의 삶을 변화시켰다”고 설명했다.
동아시아 안보 갈등과 관련해 박 대통령은 “동북아 지역은 영토니 역사문제 이런 걸로 갈등을 일으키지만 경제적으로 상당시 서로 의존하는, 떼려야 떼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협력의 틀을 근본적으로 파괴하는 행동은 있기 어려울 것”이라고 답했다.
메르켈 총리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독일 방문 시 이를 협의할 것”이라며 “경제적인 원동력이 실현되기 위해선 외교정책 차원에서 안정적인 상황이 구축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또 메르켈 총리는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해선 “러시아가 국제적인 관행을 준수하지 않는다면 저희가 더 강경한 자세를 취할 수 있을 것이란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