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다 밑에 숨겨진 고려시대 보물급 도자기 등 유물 34점을 도굴해 온 잠수부 도굴단이 경찰에 꼬리가 잡혔다. 해삼과 어패류 등을 채집하던 잠수부들이 일확천금을 노리고 수년간 어두운 바닷속을 헤치고 다녔다. 서울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는 18일 바다에 묻혀있는 고려시대 중기(12~13세기) 도자기 ‘청자양각연지수금문방형향로(靑磁陽刻蓮池水禽文方形香爐)’ 등 문화재 34점을 도굴한 혐의(문화재보호법 위반 등)로 조모(55)씨를 구속하고 임모(50)씨 등 10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이들 중 10명은 전문 잠수부로 평소엔 바다에서 일을 하며 어민, 동료들을 통해 유물 매장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에 따르면 이들은 2009년 6월부터 지난해 10월까지 전남 진도군 고군면 인근 해역 등지에서 잠수장비를 착용하고 바닷속으로 들어가 압축기와 유압호스로 흙을 걷어내는 수법으로 해저에 묻혀 있는 문화재를 찾아낸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의심을 피하기 위해 어민들이 조업하지 않는 한밤중에 해안경비 초소가 없는 포구를 중심으로 작업했고 바다에 나가면 휴대전화 전원을 꺼버리기도 했다. 이들은 경찰에서 “조업을 하다가 우연히 문화재를 건진 뒤 난파선이 많이 묻혀 있을 법한 전남 진도와 신안 일대 바다 밑에서 유물을 찾아 다녔다”고 털어놨다. 경찰 관계자는 “이들이 도굴한 청자양각연지수금문방형향로는 연꽃과 물새를 사실적으로 표현한 문양이 섬세하고 아름다워 사료적 가치가 높은 유물인 것으로 드러났다”며 “이들은 감정가만 40억원이 넘는 이 유물을 헐값인 1억원에 팔아 넘기려다 덜미를 잡혔다”고 말했다. 이 청자는 문화재 매매업자 박모(60)씨가 표면에 붙은 패각류와 이물질을 없애기 위해 염산 등의 화학약품을 무분별하게 사용하는 바람에 유약 부분이 훼손됐다고 경찰은 전했다. 경찰은 이들의 주거지 등에서 고려시대 도자기뿐만 아니라 분묘에서 도굴한 것으로 추정되는 토제마(土製馬)와 토용(土俑) 등 모두 70점을 회수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