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경제소사/8월10일] 경기 광주 도시빈민 투쟁사건
입력2005-08-09 17:53:15
수정
2005.08.09 17:53:15
박민수 <편집위원>
1960년대 근대화와 함께 사람들은 잘살아보겠다고 무작정 서울로 향했다.
그러나 ‘서울은 눈 감으면 코 베어가는 곳’으로 그리 녹록한 데가 아니었다.
땡전 한 푼 없이 몸 하나 믿고 올라온 이들은 변두리에 무허가 판잣집을 짓고 살았다. 하지만 서울은 이것마저 허용하지 않았다.
1968년 서울시는 당시 18만채에 달하던 무허가 판잣집을 경기도 광주(현 성남시) 대단지로 옮겨 위성도시를 만들겠다고 나섰다.
1969년 5월부터 3년 동안 12만 면이 넘는 철거민들이 강제로 옮겨졌다.
그러나 그곳은 사람 살 곳이 못 되는 허허벌판이었다. 빈 땅에 말뚝만 박고 4~5가구씩 집단으로 천막생활을 했다. 일용노동ㆍ행상ㆍ노점상 등으로 하루하루 생계를 꾸리던 이주민들은 거리가 멀고 교통이 불편해 서울로 일하러 나갈 수가 없었다.
일거리가 없다 보니 굶는 날이 더 많았다. 서울시가 평당 200원대에 매입한 땅을 8,000~1만6,000원에 불하했다는 사실에 이들은 더욱 분노했다. 경기도도 기다렸다는 듯이 가옥취득세 고지서를 발부했다.
마침내 1971년 8월10일 이주민 5만여명은 분양가 인하와 세금면제 등을 요구하며 실력행사에 나섰다. 아침부터 비가 내리는 가운데 모인 시민들은 극도로 흥분해 곡괭이ㆍ몽둥이 등을 휘두르며 닥치는 대로 때려 부쉈다.
시민들은 도시를 점거하고 무계획적인 도시정책 등을 성토하며 광주 대단지 전역을 장악했다. 광복 이후 최초의 대규모 도시빈민투쟁사건으로 기록된 이날 시위는 산업화ㆍ도시화에 따른 농업해체와 실업 문제 등 자본주의 사회의 구조적 모순이 집약된 도시빈민 문제의 본질을 드러냈다.
사건 직후 서울시는 주민들의 요구를 대부분 수용해 이들의 투쟁은 시민들의 일방적인 승리로 막을 내렸다.
오늘의 핫토픽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